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럼피스킨병 확산

“소 럼피스킨병 대응 총력전” … 창원특례시,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남 창원특례시는 의창구 대산면 축산 농가 1곳에서 소에서 발병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인 럼피스킨병(LSD)이 확진됨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확산 방지 총력 대응에 나섰다.
아시아경제

창원특례시가 소 럼피스킨병 확산을 막기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럼피스킨병은 모기, 진드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감염되는 소에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된 동물에서 고열, 피부 결절(단단한 혹)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우유 생산량 감소와 유산, 불임, 폐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잠복기간은 보통 4일에서 14일 정도로 짧으며 최대 28일이다.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축산과, 재난대응담당관 등 10개 부서로 구성되었으며 24시간 방역체계를 유지하고 럼피스킨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비상 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재난안전대책본부는 발병 소 사육농가 이동 경로상 통제초소 설치와 이동 제한관리, 방역대 설정, 흡혈 곤충 차단방역, 해당 농장 살처분 등 초기대응을 신속하게 완료하고, 시 홈페이지 카드 뉴스 등 방역 활동 홍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장금용 제1부시장은 “점차 확산하는 가축전염병을 막기 위해서는 선제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며 “소 사육농가는 행사 및 모임 자제와 외부 차량 출입 통제, 농장 내외부 소독을 철저히 해주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송종구 기자 jgs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