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아폴로 13호’ 우주비행사 3명 살린…美 항공우주국 비행사 87세 나이로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우주비행사 토마스 매팅리(87). 미국 항공우주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 우주비행사 토마스 매팅리가 향년 87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나사는 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나사 우주비행사 매팅리가 지난달 31일 세상을 떠났다”며 “우리는 미국의 영웅 중 한 명을 잃었다. 매팅리는 아폴로 프로젝트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그의 빛나는 인품은 역사에 길이 기억될 것”이라고 밝혔다.

빌 넬슨 나사 국장은 “매팅리는 우주를 넘어 우리(나사)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사람”이라고 추모했다.

매팅리는 1970년 4월11일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유인 달 착륙 우주선 ‘아폴로 13호’ 조종사로 탑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사 72시간 전 건강 문제로 임무에서 제외됐다.

매팅리는 어쩔 수 없이 지상 관제센터에 남아야 했지만 이 일로 3명의 우주비행사가 목숨을 구했다.

발사된 아폴로 13호가 지구에서 약 32만㎞ 떨어진 지점에 도달했을 때 갑자기 산소탱크가 폭발했다. 이후 매팅리는 탐사선을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시키는 것을 제안, 탑승했던 3명의 비행 승무원 전원이 무사히 땅을 밟을 수 있었다.

당시 나사는 “매팅리의 결정 덕분에 아폴로 13호 우주비행사 제임스 로벨, 잭 스위거트, 프레드 하이즈를 성공적으로 귀환시켰다”고 성명을 냈다.

이후 매팅리는 아폴로 16호 임무에서 다시 조종사를 맡아 두 차례 진행된 우주왕복선 임무에서 사령관으로 활약했다.

한편, 아폴로 13호의 무사 귀환은 나사에서도 전설같은 일화다. 우주선 사고는 보통 비극으로 끝나는 반면 3명의 우주비행사 모두가 돌아온 극히 드문 사례이고, 그 과정 역시 한편의 서사이기 때문이다.

산소탱크 폭발로 세 명의 비행 승무원들은 며칠이나 식사, 수면, 휴식 그 무엇도 제대로 취할 수 없었다. 지구로 돌아오려면 전력을 아껴야 해 자동조종장치마저 꺼버린 탓에 영하의 온도를 견뎌야 했고 주어진 식량도 없어 하루에 반 컵 정도의 물로 버텨냈다.

폭발로 터져나간 단열재 조각들이 우주에서 제멋대로 회전하는 등 이밖에도 여러 문제로 아폴로 13호의 궤도 수정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승무원들은 정신이 온전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궤도를 맞춰야 했다.

세 명은 자기가 적은 글씨를 자기가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뇌 기능이 저하됐고 무력감에 휩싸여 생존을 포기할 지경에 이르렀다. 다행히 매팅리를 비롯, 나사 직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지구 재진입 절차에 착수할 수 있었다.

특히 매팅리 대신 합류한 스위거트가 아폴로 13호 사령선의 절차를 개발한 주인공으노 나사에서 그보다 사령선에 빠삭한 사람이 없었다. 여기에 더해 지구에 남은 매팅리 역시 사령선에 있어 그 못지않은 전문가였다. 우주와 지구 양쪽에서 상황을 타파할 최고의 키마스터를 가진 것. 이 둘이 없었다면 아폴로 13호는 비극으로 끝날 수도 있었다.

정경인 온라인 뉴스 기자 jinorij@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