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부서별로 시설을 개별 관리하는 현행 체계로는 빈대 확산을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빈대 합동대책반을 편성해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인천시를 비롯한 각 관련기관과 교육청 등으로 구성된 빈대 합동대책반에는 빈대 긴급방제단이 포함됐다. 보건환경연구원, 10개 군·구 보건소로 구성된 긴급방제단은 120콜센터, 군·구 보건소 등에 빈대 관련 민원이 접수되면 신속히 빈대 출현 여부를 확인한 뒤 방제에 나선다.
합동대책반은 식품접객업소, 의료기관, 공연장, 학교 등 13종의 소독 의무시설에 대해선 자율방제하도록 지도점검을 강화한다. 이들 시설에는 각 보건소와 함께 소독 실시 여부를 확인할 예정인데, 빈대가 발생한 시설의 경우 빈대 박멸 여부를 중점 점검한다.
또 지역내 170여개 민간 방역업체를 대상으로 방제 특별교육을 하고, 질병관리청에서 제작한 빈대정보집도 배포해 시민이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인천에서는 지난 달 13일 찜질방에서 빈대가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신고는 접수되지 않았지만, 전국적으로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출처 : 빈대에 물린 자국 [이미지 출처=질병관리청 빈대 정보집]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남식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은 "해외여행 시 유입 등으로 빈대 확산이 늘고 있는 만큼 여행용품에 대해 철저히 소독하고, 빈대가 보이지 않더라도 바닥이나 침대에 짐을 보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