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평생 날 못 잊게 하겠다” 전 남친의 충격적인 유서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유품정리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 콘텐트 ‘더중앙플러스’에 글을 쓰는 유품정리사 김새별 작가가 고독사 현장에서 술병만큼이나 자주 보는 것이 ‘동전’이다. 외로운 방에선 빈 술병이 뒹굴고 몇 푼짜리 동전이 굴러다닌다. 그는 동전을 보면 줍지 않고는 견딜 수가 없다고 한다. 세상에선 값어치 없는 돈이지만, 고인에겐 하루를 버티게 한 소중한 돈이기 때문일까.

그런 동전에는 시신에서 흘러나온 부패물이 진득하다. 50대 남성이 죽은 방에서 동전을 줍고 닦다가 작가는 고인의 노모를 만난다. 아들의 죽음 당시 어머니는 도망가 있었다. 젊어서 남편을 잃고 홀로 키운 아들은 세상의 풍파를 모질게 맞고 나더니 폭력적으로 변했다. 자신의 실패를 오래전 죽은 부친에게 돌리고, 오랜 세월 키워준 모친에게 따졌다. 그래도 어머니는 못된 자식의 죽음 앞에서 운다. “에미 정 떼려고 그리 사납게 굴었던가.” 하지만 반전(?)이 있다. 노모는 유품 정리를 한참 바라보더니 ‘동전을 줄 수 없겠냐’고 한다. 당연히 줄 돈인데 부탁하듯 청한다. 아들은 노모의 수급비를 빼앗아 술로 탕진하며 살았던 것이다. 작가는 “‘금이야, 옥이야’ 키운 자식은 금으로 된 흉기였고, 옥으로 된 무기였다”고 탄식한다.

또 다른 충격적 현장은 취업준비생의 죽음이다. 먼저 취업한 여자친구와 자격지심 탓에 다투다 헤어진 청년. 설 명절에 고향에 내려간 전 여친의 원룸을 찾아가 그 방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 유서엔 “평생 날 잊지 못하게 하겠다”는 저주를 남겼다.

고독사란 사회적으로 은폐된 죽음이다. 이들의 죽음을 기록하고 삶을 추적하는 것은 이 사회가 어디서부터 잘못됐는지 진단하는 일이기도 하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기괴하게 뒤틀린 초6 시신, 그건 학폭이 만든 지옥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5055

노래방 단골 남성이 숨졌다, 그런데 시신은 여성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3308

왜 둘다 화장실이었을까…어느 50대 남녀 슬픈 배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7952

“1년 전 그 냄새 또 납니다” 어느 원룸촌의 연쇄 고독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1527

130㎏ 거구의 고시원 돌연사, 3주째 놔둔 ‘대단한 이웃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6536

옥탑방 ‘포르노 민폐남’ 죽음…동네 노인이 막걸리 부은 이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3260

50대 ‘못된’ 아들이 떠난 뒤, 매맞는 할머니 마지막 부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1500

“평생 날 못 잊게 하겠다” 전 남친의 충격적인 유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2585

배노필 플러스편집팀장 bae.nopil@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