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기업 AI '승부수' 띄운 구글…"데이터 서울 저장, 제미니는 아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글클라우드, 韓 기업용 AI 시장 공략 박차

서울 리전에 기업 생성형 AI 데이터 저장 지원

앱 마켓플레이스 구축, '제미니'는 아직 개발 중

이데일리

강형준 구글클라우드코리아 지사장이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구글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3 미디어 브리핑’에서 발표하는 모습(사진=구글클라우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구글클라우드가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을 원하는 국내 기업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승부수를 띄웠다.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최초로 고객 데이터를 서울 리전(3개 이상의 데이터센터로 구성된 구역)에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점이 골자다. 해외로 고객 데이터가 나갈 일이 없는 것은 물론, 구글이 이를 들여다보거나 AI 모델 학습에 이용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강형준 구글클라우드코리아 지사장은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구글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3 미디어 브리핑’에서 “구글클라우드는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버텍스 AI’에 대한 데이터 레지던시를 글로벌 하이퍼스케일러 중 처음으로 한국 고객에게 제공한다”며 “국내 고객사의 데이터는 한국 내에 존재하고, 온전히 한국 고객의 소유”라고 말했다.

데이터 레지던시는 데이터가 실제 보관되는 지리적 위치를 의미한다. 국가와 산업 특성에 따라 데이터 주권과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기업 요구가 증가하며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다. 특히 생성형 AI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질문 데이터)를 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등 인프라 제공 기업에서 모델 학습에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며 필요성이 늘고 있다.

이데일리

구글클라우드가 발표한 ‘데이터 레지던시’ 지원 계획(사진=김가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구글클라우드는 이 같은 기업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 ‘버텍스 AI’ 고객들이 데이터 저장 위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레지던시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버텍스 AI를 사용하는 기업 고객들은 글로벌 9개 리전과 서울 리전 중 원하는 곳을 선택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버텍스 AI 데이터 레지던시에는 △팜2(PaLM2) △코디(Codey) △이마젠(Imagen)을 비롯한 구글 기반 모델과 글자와 이미지 등을 대규모 모델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숫자로 변환하는 ‘임베딩’ 기술이 포함된다.

강 지사장은 “한국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 기업 고유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구글이 데이터를 갖고 모델을 학습시키는 게 아니냐는 것”이라며 “데이터를 국내에 저장하고 고객이 직접 암호화된 키를 관리하도록 해 우려를 불식시키려 한다”고 말했다.

앞서 오픈AI가 발표한 애플리케이션 마켓 ‘GPT스토어’와 유사한 서비스도 개발 중이다. 필립 모이어 구글클라우드 글로벌 AI 비즈니스 솔루션 부문 부사장은 “AI 기술을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도 구축 중”이라면서도 “구글이 가장 먼저 시작한 건 ‘모델 가든’이고 이는 모델에 대한 고객 선택권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내 출시 예정으로 알려진 차세대 거대언어모델 ‘제미니(Gemini)’는 아직 개발 작업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미니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음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해하고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능이 주요 차별점으로 알려졌다. 이는 MS와 오픈AI 동맹에게 뺏긴 AI 시장 주도권을 되찾아오기 위한 구글의 ‘전략 무기’이기도 하다.

필립 부사장은 “제미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할 사항은 없다”며 “멀티모달을 지원하기 위해 해결해야 하는 많은 문제가 있어 계속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