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방심위 평직원 200명 중 150명이 연대 동참 “가짜뉴스 센터 역할 합의될 때까지 전 직원 인사 반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강한들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평직원 약 200명 중 150명이 ‘가짜뉴스(허위조작정보) 신속심의센터’(가짜뉴스센터) 평직원들을 지지하는 ‘연대 서명부’에 이름을 올렸다. 앞서 가짜뉴스센터 평직원 4명은 지난 7일 방심위 노동조합을 통해 사내 고충처리위원회에 ‘가짜뉴스센터 파견 발령을 해제하고 원 부서로 돌아가게 해달라’는 고충을 접수했다. 지난 10일 경향신문이 이를 보도하자 방심위는 같은 날 “가짜뉴스센터 직원들의 요구는 거짓”이라는 취지의 해명자료를 냈다.

방심위 고충처리위원회는 14일 오후 회의를 열고 가짜뉴스센터 직원들의 고충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노동자 측 위원 3명, 사용자 측 위원 3명이 참석했다. 노동자 측 위원들은 “직원들의 고충 사항은 특정 개인, 실무 차원의 내부 문제가 아닌 사회적 합의 없이 설치된 센터 운영에 따른 필연적 결과”라며 “센터 직원의 파견을 멈추고 원소속 부서로 복귀시킬 것”을 요청했다. 이어 “센터 관련 비합리적 인사 발령과 조직 운영에 대해 위원장이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사측은 ‘향후 가짜뉴스센터가 잘 운영될 수 있다고 보며 노동자 측 위원의 요구 사항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방심위는 지난 10일 해명자료를 통해 가짜뉴스센터가 “정상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류희림 방심위원장은 지난 13일 방심위 전체회의에서 “업무 처리 절차를 마련해 2주 뒤까지 전체회의에 보고하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가짜뉴스센터는 올해 12월을 기한으로 지난 9월 만들어진 임시 조직이다. 류 위원장의 발언은 3개월을 기한으로 만들어진 조직의 업무처리절차가 두 달 가까이 확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날 노동자 측 고충처리위원은 직원 다수가 서명한 ‘가짜뉴스 신속심의센터 부서원 고충 처리 동의 및 일반직, 기능직 직원의 센터 인사 발령 반대 서명부’를 사측에 전달했다. 노동자 측 고충처리위원인 김준희 방심위 차장은 참여 직원 규모에 대해 기자와 통화하며 “평직원 약 200명 중 150명이 서명에 참여했다”라고 밝혔다.

사측이 직원의 고충을 ‘가짜뉴스’ 취급하자 반발이 들불처럼 번진 것으로 보인다. 일부 휴직자, 교대근무자 등 자필로 서명이 어려운 직원들은 전화 등으로 동의 의사를 확인해 대리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심위 전체 조직에서 팀장 등 보직자를 제외한 평직원은 휴직자 포함 약 200명이다. 방심위 출범 이후 전체 직원이 의견을 모아 서명부를 만든 일은 처음이다.

서명부에서 직원들은 “가짜뉴스 관련 업무 조정은 한 달 반째 방치 상태이며, 부서 간 갈등은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라며 “센터를 포함한 모든 직원이 고통을 분담하고 있고, 동료가 겪는 부당함을 더는 지켜보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가짜뉴스 신속심의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라며 “(현 센터 직원과 같은) 고충을 겪지 않도록 센터의 역할이 합의될 때까지 모든 직원의 인사 발령을 반대한다”라고 밝혔다.

지난달 방심위 사무처 팀장 27명 중 11명도 방심위의 ‘가짜뉴스센터’ 운영에 우려를 표했다.

방심위는 오는 17일까지 ‘원 부서로 돌아가게 해달라’는 가짜뉴스센터 직원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지 논의할 예정이다. 노사 양측이 합의에 이르면 방심위 인사위원회에 이를 건의한다. 건의를 받아들일지는 인사위원회가 결정한다.


☞ [단독] 방심위 가짜뉴스 심의센터 직원들 “징계·수사 등 피해 예상···원래 부서로 보내 달라”
https://www.khan.co.kr/national/media/article/202311101501001



☞ [단독] 방심위 사무처 팀장 11명 “언론 탄압·검열 논란 우려…성급한 의사 결정 지양해야”
https://www.khan.co.kr/national/media/article/202310061907001


강한들 기자 handle@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