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오픈AI 사태…결국 웃은 자는 MS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트먼 영입 발표 후 주가 급등

규제 피하며 AI 핵심 자산 확보

오픈AI는 공중분해 위기 몰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시초 챗GPT를 만든 오픈AI의 전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마이크로소프트(MS)로 이동하면서 AI 산업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MS는 오픈AI의 핵심 인력 영입으로 경쟁에서 주도권을 갖게 된 반면 AI 붐을 일으킨 오픈AI는 존립을 걱정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정보기술(IT) 업계는 지난 17일 오픈AI 이사회의 올트먼 해임 발표 후 사흘간의 혼돈 끝에 올트먼의 거취가 정해지자 이번 사태로 MS가 가장 큰 이득을 봤다고 평가했다.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오픈AI를 둘러싼 총성 없는 전쟁에서 진정한 승리는 MS로 돌아가게 됐다”며 “MS가 나중에 더 높은 가격에 훨씬 더 많은 규제를 뚫고 사들여야 하는 것을 일찍 얻게 됐다”고 분석했다.

MS는 올트먼과 오픈AI 이사회 의장이던 공동창업자 그레그 브록먼, 익명의 동료들이 자사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도 20일(현지시간) 엑스(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샘 올트먼과 그레그 브록먼이 동료들과 합류해 새로운 AI 연구팀을 이끌게 된다는 소식을 공유해 매우 흥분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MS가 올트먼을 따르는 수많은 직원을 영입함으로써 오픈AI의 지식재산과 기술 인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MS는 오픈AI의 지분 49%를 보유한 최대주주이지만 오픈AI를 전적으로 소유하거나 통제할 순 없었다. 오픈AI는 비영리 이사회가 지배해 MS가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재 영입으로 오픈AI의 가치를 규제 장애물과 싸우지 않고 획득해 AI 개발의 운전대를 쥐게 됐다. 이를 방증하듯 MS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이날 MS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05% 오른 377.44달러(약 48만8596원)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로 장중에는 378.87달러(약 49만447원)까지 치솟아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번 사태로 AI 생태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구글, 메타, 아마존 등 AI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뒤처졌던 빅테크들은 선두 기업을 따라잡을 기회가 생겼다. 오픈AI를 이탈하는 핵심 인력을 데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내홍에 휩싸인 오픈AI는 공중분해 위기에 처했다. 오픈AI에서는 올트먼 복귀와 이사회 사임을 요구하는 연판장에 서명한 직원이 7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사회 멤버들이 사임하지 않을 경우 올트먼을 따라 회사를 떠나겠다며 초강수를 던졌다. 직원들의 움직임이 현실화하면 최악의 경우 회사는 해체 수순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 오픈AI 투자자들도 여전히 올트먼 복귀를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이사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독립언론 경향신문을 응원하신다면 KHANUP!
▶ 나만의 뉴스레터 만들어 보고 싶다면 지금이 기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