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카카오 모바일상품권 수수료가 10%”…가맹점주협, 공정위에 신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아지트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참여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민생경제위원회는 22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지하 느티나무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카카오가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해 기프티콘 등 모바일 상품권 수수료를 과도하게 떼어가고 있다”며 “카카오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들에 따르면, 중소상인 신용카드 결제수수료율이 최대 2.07%인 데 비해 카카오는 모바일 상품권에 대해 5∼10%의 수수료율을 부과하고 있다.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상품권 시장의 74%, 선물하기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체들은 “카카오가 이용사업자에게 비상식적으로 높은 상품권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이를 강요하고 있다”며 “특히 가맹점이 전적으로 수수료를 부담하는 브랜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를 받아 소상공인을 차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들은 또 “모바일 상품권 결제 후 대금 정산이 최대 2개월이 지나야 이뤄지는 경우가 많지만 정산 절차에 대해 투명한 정보를 제공받고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는 전무하다”고 밝혔다. 김광부 투썸플레이스 가맹점대표자협의회장은 “모바일 상품권은 가맹점 전체 매출에서 20∼50%를 차지해 거부할 수 없는 결제 수단”이라며 “카카오 선물하기로 9%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는데, 가맹점당 평균 수익률이 10%대인 상황에 견줘 과도하다”고 말했다.

이 단체들은 “온라인 거래 확대로 플랫폼 회사들의 시장지배력이 커지며 여러 중소상공인의 생존과 소비자 후생을 좌지우지할 정도로 막강한 경제권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남아있는 21대 국회 회기 동안 ‘온라인플랫폼 독점규제법’과 ‘온라인플랫폼 거래 공정화법’이 반드시 제정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후원하기]
▶▶지구를 위해! [겨리와 함께 줍깅] 신청▶▶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