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숙박업소에서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한 공중위생업소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전국 곳곳에서 빈대가 발생해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서울시가 고시원 등 주거취약시설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겠다고 1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시 빈대 발생 건수는 총 89건으로 이 중 43.8%가 고시원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시는 자치구마다 고시원 관리 전담 인력을 지정하고, 시에 등록된 고시원 4852곳을 직접 방문해 빈대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전담인력은 고시원 영업자(관리자)와 거주자 동의를 얻어 고시원별로 방 1∼2개씩을 표본 조사하게 된다. 침대와 매트리스, 장판 등에 빈대, 탈피 흔적, 배설물 등이 있는지 살피고 빈대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면 시설 전체를 점검한다.
또 빈대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도 발생 예방 행동수칙을 교육하고, 발생 즉시 서울시 발생신고센터와 보건소, 120다산콜에 신고하도록 안내한다.
고시원 등에 비해 확산세가 더딘 편이나, 쪽방촌의 열악한 주거환경 특성상 확산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자치구에서는 전수점검 결과를 토대로 방제계획을 수립하고 빈대 예방·완전 박멸을 위해 철저하게 방제하기로 했다.
쪽방촌이나 고시원에 빈대 발생이 확인되면 피해 단계에 따라 보건소 자체 방제 또는 민간 전문업체를 통해 최대 3회, 총 300만원 이내로 방제비를 지원한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달 10일 5억원을 긴급 교부했으며 특별교부세 2억원을 추가 교부할 예정이다.
방제 이후에도 10일 간격으로 2회 추가 점검을 실시해 빈대가 박멸됐는지 특별관리할 예정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