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서울에서 발생한 빈대 건수는 총 89건으로, 그중 39건(44%)이 고시원에서 발견됐다.
빈대 피해 5단계 확인. 서울시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시는 자치구마다 고시원 관리 전담인력을 지정하도록 하고 시에 등록된 고시원 4852곳을 직접 방문해 빈대 발생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전담인력은 고시원 영업자(관리자)와 거주자 동의를 얻어 고시원별로 방 1∼2개씩을 표본 조사한다.
주거환경이 열악한 쪽방촌도 자율점검표를 배포해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 쪽방촌 빈대 발생 건수는 지난달 21일 기준 남대문 1건, 서울역 2건 등 총 3건으로 양호한 편이지만 확산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쪽방촌, 고시원 등 주거 취약시설의 빈대 방제 지원을 위해 지달 10일 5억원을 긴급 교부한 데 이어 추가로 특별교부세 2억원을 교부해 집중 관리할 예정이다.
쪽방촌과 고시원에서 빈대 발생이 확인되면 빈대 피해 단계에 따라 보건소에서 자체 방제를 실시하거나 민간 전문업체를 통해 최대 3회 총 300만원 이내에서 방제비를 지원한다.
방제 이후로도 10일 간격으로 2회 추가 점검을 실시해 빈대가 박멸됐는지 특별관리한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