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G7 정상회담

시진핑 "모든 간섭 제거해야"… EU 대표 "무역 불균형 해소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7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4년 만에 중·유럽연합(EU) 정상회담이 열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가운데)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회 위원장(오른쪽),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과 유럽연합(EU) 관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중·EU 정상회담이 주요 현안에서 의견차를 보이며 별 성과 없이 막을 내렸다. 2019년 현 EU 집행부가 출범한 뒤 각 정상이 따로 중국을 방문한 적은 있지만, 집행부 수장 전체가 방중해 대면 회담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요 7개국(G7) 정상은 전날 영상회의를 열고 중국의 대만과 남중국해 무력 위협을 경고하고 티베트·신장·홍콩의 인권 문제를 거론하는 등 EU를 지원 사격했다.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7일 오전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했다.

시 주석은 "중국과 유럽은 상호이익과 협력의 동반자가 돼야 한다"면서 "모든 종류의 간섭을 제거하고 대화와 협력을 강화해 양측 인민에게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담을 끝마친 후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시 주석과의 대화가 훌륭하고 솔직했다"고 밝혔다. 그는 "두 정상이 지정학적 마찰이 증가하는 세계의 주요 도전 과제들을 논의하고 인적 교류 확대도 약속했다"며 "균형 잡힌 무역 관계에 양측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서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한편 시 주석은 이번 회담에서 일대일로 사업 홍보에도 적극 나섰다. 이탈리아가 2019년부터 참여한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서 공식 탈퇴하겠다고 통보한 것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가디언은 이탈리아 정부가 지난 3일 중국 측에 공식 탈퇴 서한을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나라는 G7 중 유일한 일대일로 참여국이었다.

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자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EU의 글로벌 게이트웨이와 연결할 의향이 있다고 EU 정상들에게 말했다. EU가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은 2027년까지 3000억유로(약 400조원)를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디지털, 친환경 산업에 투자하는 프로젝트다. EU의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목표로 하며, 일각에선 중국의 일대일로를 견제하기 위해 고안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EU 지도부는 과도한 대(對)중국 무역적자를 언급하면서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 등을 문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EU의 대중국 무역적자는 4000억유로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일부 품목의 중국 의존도는 90%에 달한다. EU는 중국이 경제 회복을 위해 수출 드라이브를 강화하면 유럽의 핵심 산업과 노동자들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최근 EU가 대대적으로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조사에 나서고 중국 기업들의 과잉 생산과 수출에 따른 반덤핑 의혹을 조사하는 이유다. 중국 측은 "EU의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조사는 전형적인 보호무역주의 행태"라고 말했다.

EU는 디리스킹(위험 제거)을 명목으로 의약품, 전자 제품, 방산 제품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은 EU에 절충안을 요구하면서 보조금 전략을 바꾸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루시 첸 시아 옥스퍼드대 교수는 "중국은 디리스킹이나 디커플링 모두 환영하지 않는다"며 "EU와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경제적 관계 정상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서방국가는 잇달아 대중국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7개국 정상은 6일(현지시간) 영상회의 이후 성명을 내고 중국의 경제와 군사, 인권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G7은 인도·태평양 지역 전략 성명에서 총 여섯 가지의 대중국 정책을 강조했다. 글로벌 공급망 강화를 위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의 비시장적 정책(보조금) 등 일부 관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베이징 손일선 특파원 /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