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美, 기준금리 5.25∼5.50% 동결…내년 말 금리 4.6% 전망(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리 인상 중단 시사…내년 3차례 인하할 듯

“경제활동 성장세 둔화하고 인플레이션 완화”

헤럴드경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이 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동안의 긴축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완화됐다고 판단하며 내년에는 총 3차례에 걸쳐 금리를 인하할 것을 예고했다.

13일(현지시간)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현재의 5.25∼5.50%로 유지한다고 성명을 통해 발표했다.

지난 9월과 11월에 이어 세 번째 연속 동결이다. 이로써 한국(3.50%)과의 기준금리 차이는 상단 기준으로 2.00%포인트다.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경제활동이 둔화한 점을 고려해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최근 지표는 경제활동 성장세가 지난 3분기의 강한(strong) 속도에서 둔화했음을 시사한다”며 “고용 증가세는 올해 초반에 비해 완만해졌으나 여전히 강세이며 실업률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지난 1년 간 완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번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이 예상됐던만큼 시장의 관심은 연준의 내년 경제 전망에 쏠렸다.

연준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1.4%로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 9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물가상승률도 9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은 2.4%로 예상했다.

내년 말 기준금리는 4.6%로 예상했다.이에 따라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2022년 3월부터 11차례 단행한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내년에는 금리를 세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시장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추가 긴축 정책이 더이상(any additional policy firming) 필요한지를 판단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긴축 완화를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브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애나웡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업데이트된 점도표와 성명서는 모두 상당히 비둘기파 적인 것으로 FOMC는 긴축 사이클이 끝났다는 강력한 신호를 보냈다”고 평가했다.

why37@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