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국산 AI 반도체, 상용 대비 전성비 2배"…'K-클라우드' 성과 속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실증사업 중간점검

이종호 장관 "저전력·고효율 국산 AI반도체로 클라우드 경쟁력 제고"

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8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인근 식당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자간담회' 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가 기존 상용 반도체 대비 2배 이상의 전성비(전력대비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양재 더케이 호텔에서 제4차 인공지능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와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의 AI서비스 실증 시연회를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는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저전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2월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 발표 이후 본격 추진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국산 AI반도체를 신경처리장치(NPU)→저전력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극저전력PIM(3단계)로 고도화하고 단계별로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클라우드 기반 AI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상용 반도체 대비 국산 AI반도체 성능 '2배'


이날 시연회에서는 2025년까지 진행될 K-클라우드 프로젝트의 1단계 실증사업에서 구축하기로 한 AI서비스 실증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시연은 국산 NPU의 처리속도·소비전력 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NHN클라우드, 사피온코리아, 노타는 지능형 교통관제 서비스를 선보였다. 교차로 CCTV영상 내 차량(승용차, 트럭, 버스 등) 및 보행자를 식별하는 것으로 기존 상용 반도체를 사용했을 때보다 2배 이상의 전성비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KT클라우드, 리벨리온, 슈퍼브AI가 준비한 음식물 식별 및 영양관리 서비스는 음식물 인식 및 객체 분석으로 영양분 섭취량 계산했다. 이 역시 기존 상용 반도체 대비 2~3배 가량의 전성비를 확보했다.

네이버클라우드, 퓨리오사AI, 심플랫폼은 건설현장 CCTV영상 내 작업자 식별 및 위험도 측정을 시연했는데 역시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전성비를 보였다.

이외에 국내 AI반도체 기업들의 주요 기술개발 성과전시회도 열렸다. 여기에는 네패스, 넥스트칩, 딥엑스, 모빌린트, 사피온, 아이닉스, 오픈엣지 테크놀로지, 텔레칩스 등 국내 우수한 AI반도체 기업들과 카이스트(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학교·연구기관에서 전시 부스를 구성해 최근 개발한 AI반도체 관련 제품 및 서비스와 적용 기술 등을 선보였다.

네이버와 삼성전자가 손잡고 개발 중인 AI반도체에 대한 소개를 위한 전시부스도 있었다. 양사는 함께 개발 중인 프로그래머블반도체(FPGA) 기반 초거대 AI모델(LLM)의 추론용 AI반도체를 소개했다.

상용 모바일용 저전력 D램(LPDDR)을 탑재해 전력효율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양자화·가지치기 등 AI 모델 경량화 기술을 통해 추론성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9405억 규모 AI반도체 R&D, 내년 본 예타 도전


이날 열린 4차 전략대화에서는 3차 전략대화 결과와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 운영 현황이 공유됐다.

얼라이언스는 K-클라우드 추진을 위한 민·관 협업 창구 마련 및 주요과제 발굴을 위해 지난해 12월 출범했다. 현재는 110개 기관이 국방, 드론, 로봇, 모바일, 교육, 표준화, 수출 등 7개 분과에서 운영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사업 현황을 공유했다. NIPA는 내년 445억원의 예산(올해보다 8.5% 증가)을 투입해 고성능 저전력 NPU팜을 구축하고 AI반도체 응용실증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기술인재 공급 플랫폼 사업을 신규 추진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AI반도체 기술개발 및 ‘K-클라우드 기술개발사업’ 예타 현황을 발표했다. 예비타당성 조사 기회를 얻은 K-클라우드 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 내년 1월 열리는 본 예타 사업설명회를 준비하고 있다. 2025년부터 2031년까지 9405억 규모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본 예탸는 내년 상반기 중 진행될 예정이다.

이어 사피온코리아, 퓨리오사AI, 리벨리온이 K-클라우드 1단계 AI서비스 실증 및 반도체 개발 현황을 발표했다.

이 장관은 "세계는 지금 생성형AI의 등장과 함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데이터센터의 저전력화 필요성이 이슈가 되고 있다"며 "K-클라우드 프로젝트의 핵심은 기존 상용 AI반도체의 높은 에너지 소모를 대폭 줄이는 저전력·고효율 국산 AI반도체를 개발하여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민·관이 원팀이 되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