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수많은 생성 AI, 뭐 쓰지?…뤼튼 "최선의 AI 조합 무료로 골라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러 LLM 장점 취합해 최적의 결과 제공

일본 기점 글로벌 진출 시동…"2024년, 日 MAU 100만 목표"

뉴스1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가 19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스 제공) 2023.12.19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인공지능(AI) 포털 서비스 기업 뤼튼테크노롤지스(뤼튼)가 이용자가 거대언어모델(LLM)을 고를 필요 없이 상황에 맞춰 최적의 결과물을 내놓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선보인다.

뤼튼은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내년도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세영 대표는 "현재 뤼튼의 강점은 GPT를 포함한 고성능, 최신의 다양한 생성 AI 모델을 무제한 무료로 선택 할 수 있는 것"이라며 "2024년에는 이용자가 모델을 고를 필요 없이 상황과 선호도에 맞춰 최적의 모델을 조합해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오픈AI는 GPT 시리즈, 구글은 팜(Palm) 및 제미나이(GEMINI),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 X, xAI는 그록(Grok) 등 다양한 LLM을 개발했다.

각 LLM은 특화된 상황 및 성능, 어조 등의 차이가 있다. 문제는 다양한 LLM이 출시됨에 따라 이용자들이 각 서비스를 이용·비교하기 어렵고 일부는 유료화가 돼 장벽이 있다는 것이다.

뤼튼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내 최초로 LLM 큐레이션 서비스를 도입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KLAUD)라는 '실사용 데이터에 기반한 한국어 LLM 만족도 평가 시스템'을 개발했다.

시스템 개발에는 개인정보가 제거된 1만8000여건의 생성형 AI 대화가 사용됐다. GPT-3.5, GPT-4, 하이퍼클로바X, Palm2, 클로드-2(Claude-2) 등 LLM이 이용자와 대화한 결과를 적절성, 연관성, 대화 참여도 등의 10개 지표로 평가했다.

그 결과 GPT-4는 적절성과 대화참여도에서, 하이퍼클로바X는 완결성에서 GPT-4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비유하자면 GPT-4는 말은 좀 덜 예쁘게 해도 머리는 굉장히 좋은 셈이다.

박민준 뤼튼 에이전트 연구 리더는 "뤼튼이 가진 기술과 클라우드를 합치면 이용자의 발화 의도를 파악해 중요한 평가 지표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LLM을 큐레이션 해준다"고 설명했다.

뤼튼은 해당 기능을 무료로 제공해 2024년 'AI 메가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3월 4만명 수준이던 뤼튼의 월간활성사용자(MAU)는 이달 140만명으로 급성장했다.

이 대표는 "인공지능 서비스의 가치가 이용자의 삶에 잘 녹아드는 것을 진정성 있게 추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뤼튼은 지난달 일본 법인을 설립하고 글로벌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내년도 MAU 목표치는 100만명 이상이다.

이 대표는 "국내 최고 생성 AI 플랫폼 지위에 만족하지 않고 일본, 중동, 동남아를 아우르는 아시아 최고 플랫폼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했다.

한편, 뤼튼은 이날 새로운 기업 로고와 슬로건 '당신의 첫 인공지능 에이전트'(Your First AI Agent)도 공개했다.

seungjun24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