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반도체·양자, '기술개발 목표' 12대 국가전략기술 확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주영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6회 심의회의’ 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인공지능(AI)과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이 기술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나라가 반드시 확보해야 할 기술개발 목표인 ‘12대 국가전략기술’으로 확정됐다.

정부는 20일 국가전략기술 선정안을 심의·의결하고 ‘12대 국가전략기술’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0월 윤석열 대통령 주재 ‘제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통해 공급망·신산업·외교안보 관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12대 분야를 선정한 바 있다.

당시 12대 분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가 선정됐다.

정부는 이들 기술을 중심으로 예산 집중 투자는 물론 ‘임무중심 전략로드맵’ 수립해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더해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정·시행으로 범부처 차원의 법적 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정부는 12대 분야를 국가전략기술로 공식 지정함과 함께 AI반도체, 합성생물학 등 정책·투자의 핵심 대상이 될 총 50개의 중점기술 및 그 세부 정의를 구체화했다.

선정된 국가전략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고시로 확정될 예정이며 초격차 기술 확보를 목표로 특별법상 다양한 정책적 지원수단 및 혁신·도전적 연구개발을 통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는 단순한 경제성장을 넘어 국가생존의 핵심”이라며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적 연구개발로 전략기술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