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지 못 찾아 2년째 연희동 자택에 보관
경기 파주시 안치계획도 지역사회 반발로 무산
이한신 합천군의원은 21일 전 전 대통령의 유해를 합천으로 안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자회견을 열고 "전 전 대통령이 2021년 11월23일 타계한 후 2년째 영면할 곳을 찾지 못해 유해를 자택에 모시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전직 대통령의 유해가 묻힐 곳을 찾지 못해 자택에 있다는 것은 가족사의 비극을 넘어 한때나마 자랑스럽게 여겼던 우리 합천의 아픈 역사가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군의원은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 중 현재까지 갈 곳이 없어 자택에 유해가 있는 분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며 "누가 뭐라 해도 전 전 대통령은 합천 출신 대통령이다. 출신만으로도 자랑스럽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 전 대통령의 유해 안장 문제에 대해 합천군수와 군의회 의장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1년 11월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의 발인식이 진행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지역 시민단체는 "어처구니없다"고 반발했다. 시민단체 '생명의 숲 되찾기 경남 합천군민 운동본부'는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그렇게 전두환 유해가 연희동에 머물러 있는 게 못 참을 아픔이라면, 이 군의원 당신 집 마당에 거두기 바란다"며 "엉뚱하게 군수, 군의원, 합천군민에게 공을 돌리지 말라. 이분들이 당신처럼 한가로운 사람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이어 "군의원으로 활동할 수 있게 한 자당을 욕보이지도 말고, 당신을 선출해준 군민들을 부끄럽게 하지 말라"며 "사과하고 사퇴하는 것이 그나마 헛소리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임을 분명히 알려둔다"고 강조했다.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2년째 장지를 구하지 못하고 현재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 임시 보관 중이다.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그는 군사반란죄, 내란죄 등으로 실형을 받아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달 초 유족이 경기 파주시에 유해를 안치하려고 했으나, 지역사회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