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오픈AI 경쟁자 앤스로픽, 1조원 자금 유치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앤스로픽 로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픈AI의 직원들이 설립한 앤스로픽이 7억5000만 달러, 우리 돈 약 1조원에 달하는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21일(현지 시각) CNBC와 더인포메이션 등에 따르면 엔스로픽은 184억달러, 우리 돈 23조9000억원에 달하는 기업 가치를 기반으로 자금 조달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올해 초 41억 달러에서 4.5배 확대된 수치다. 투자 라운드는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멘로 벤처스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2021년에 설립된 앤스로픽은 구글, 세일스포스, 줌 등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 올해 4월과 5월에는 총 7억5000만 달러를 투자받았으며 구글은 이 회사의 지분 10%를 보유했다. 피치북 데이터에 따르면 앤스로픽의 5월 투자금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에 투자한 이후 가장 큰 인공지능(AI) 자금 조달 라운드로 기록됐다.

지난 10월 구글이 2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9월에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최대 4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발표하기도 했다.

앤스로픽은 챗GPT의 경쟁자로 평가받는 ‘클라우드2’의 개발사다. 클로드2는 책 한 권 길이에 해당하는 약 7만5000단어를 요약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메모, 편지, 또는 이야기 형식으로 요약이 가능하다. 챗GPT는 3000단어를 요약할 수 있다. 오픈AI의 전 연구 부사장이었던 다리오 아모데이와 역시 오픈AI의 정책 담당 부사장을 맡았던 다이엘라 아모데이가 설립했다. 두 사람은 남매 사이다. 두 사람은 AI를 더 안전하게 사용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오픈AI를 나와 앤스로픽을 설립했다.

기계학습 모니터링 플랫폼 아서에 따르면 클로드2는 챗GPT와 비교했을 때 자신이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답할 뿐 아니라 지원할 수 있는 학습 데이터가 있는 질문에만 답변하는 ‘자기 인식’ 부문에서 가장 뛰어난 능력을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