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KAI, 방사청과 '1조4천억원' 소형무장헬기 2차 양산 계약(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1차 이어 2차 계약…내년말 초도 납품 시작으로 5년간 공급

특수작전공격헬기·지휘통제헬기 등 개발…해외시장 진출도 모색

연합뉴스

KAI 소형무장헬기 초도비행 성공
(서울=연합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제작한 소형무장헬기(LAH) 시제 1호기가 지난 2019년 7월 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초도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019.7.4 [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047810]은 방위사업청과 1조4천53억7천만원 규모의 육군 소형무장헬기(LAH) 2차 양산 계약을 맺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 계약 금액은 KAI의 지난해 매출의 50.4%에 해당한다.

이번 계약은 LAH 항공기와 기술교범, 후속 기술지원 등 통합체계지원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KAI는 밝혔다. 계약 기간은 약 60개월이다.

KAI는 이번에 계약한 2차 물량은 2025년 4분기부터 순차적으로 납품할 계획이다.

앞서 KAI는 지난해 말 처음 방사청과 LAH 1차 양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양산 인프라를 구축하고 내년 말 초도 납품을 목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KAI 관계자는 "최초 양산에 이은 2차 양산 계약 체결로 군 전력 강화와 함께 회사가 안정적으로 매출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납기 준수를 통해 전력화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동시범 보이는 소형 무장헬기 LAH
(서울=연합뉴스) 지난달 2021년 2월 24일 경남 사천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열린 '항공분야 국가정책사업 미디어 데이'에서 소형 무장헬기 LAH가 공개됐다. 사진은 기동시범 보이는 LAH. [국방일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LAH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두 번째 국산 헬기다.

노후화된 500MD 토우와 AH-1S 코브라 헬기를 대체할 전력이다.

LAH는 향후 육군의 대(對) 기갑 전투 등 항공 타격작전과 공중강습 엄호 등 작전에 투입돼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LAH에는 스마트 다기능 시현기(SMFD)와 통합 전자지도 컴퓨터(IDMC) 등 첨단 항공전자 장비를 포함한 '풀 글라스 콕핏'(Full Glass Cockpit)이 적용되며, 20㎜ 터렛형 기관총과 공대지 미사일, 무유도로켓 등의 무장이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 표적획득지시 장치(TADS)와 통합헬멧 시현 장치(HMD)가 무장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동돼 조종사의 임무 수행 능력이 대폭 향상됐다.

아울러 레이더경보수신기(RWR), 미사일 경보 수신기(MWR) 등 첨단 방어시스템을 장착해 항공기의 생존능력이 강화됐다고 KAI는 설명했다.

KAI는 2차 양산계약 체결을 통해 LAH의 양산체계를 공고히 하고 LAH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수작전 공격헬기, 지휘통제 헬기 같은 다양한 파생형 헬기를 개발해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미 KAI는 지난달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두바이에어쇼에 국산 헬기 수리온을 선보이고 시범 비행을 성공적으로 진행해 수출 기대감을 높였다.

dkki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