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 퇴치'의 일등 공신으로 서울대 의대 열대의학교실 김주현 교수가 주목받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흡혈 곤충의 대모가 한국의 빈대 퇴치 작전을 짜다'라는 보도에서 그의 연구성과를 조명했다.
김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빈대 확산 논란이 일자 효과적인 빈대 퇴치 방법을 고안해 내며 숨은 영웅으로 떠올랐다. 김 교수는 2020년 논문에서 국내 빈대들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혀냈고, 이를 토대로 저항성을 가진 빈대를 퇴치하기 위한 대체 살충제 성분 두 가지를 확인하고 미국 위생곤충학회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환경부는 김 교수에게 의뢰해 국내에서 가장 효과적인 빈대 퇴치 방법을 고안해 내는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WSJ는 "(김 교수의) 부모님이 처음에는 딸의 직업 선택에 대해 걱정했지만 이제 그 딸은 국가적 영웅이 됐다"고 소개했다.
그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인 이시혁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 교수는 "(김 교수는) 흡혈곤충의 대모가 될 운명이었다"고 전했다. 박사 후 연구 과정을 지도한 존 마셜 클라크 미국 애머스트 매사추세츠대(UMass) 교수는 그를 '빈대 공주(bedbug princess)'라고 부르기도 했다. 김 교수는 "내 관심은 인간을 해치는 곤충을 어떻게 하면 가장 잘 퇴치하느냐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빈대 연구를 위해 실험실에서 키우는 이나 빈대에게 직접 피를 내주는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
WSJ는 온통 곤충으로 가득한 김 교수의 이색적인 연구실 풍경도 소개했다. 진드기, 초파리, 머릿니 등 곤충 인형이 여기저기 널려 있고 커피를 마시는 머그잔에는 모기 그림과 함께 '조용하지만 치명적'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진영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