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1월에 강했던 증시, 올해도? "기대감 낮춰야…중소형주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연말 산타랠리에 이어 1월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오히려 1월 효과 기대감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각종 호재의 선반영으로 인한 조정 가능성과 실적 시즌에 따른 불확실성 등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연말 쏠림현상이 강했던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와 소외주 위주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53포인트(0.55%) 상승한 2669.81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36포인트(1.43%) 오른 878.93에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71억원, 1130억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3450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에서는 외국인이 1217억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이끌었다.

이날 증시 상승의 1등 공신은 대장주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장중 최고 7만9800원까지 오르며 '8만전자'에 근접했다. 이날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100원(1.4%) 오른 7만9600원을 기록했다. 제2의 국민주 카카오 역시 6.63% 급등한 5만7900원을 기록하며 6만원대 회복을 눈앞에 뒀다. 반면 현대차, 기아, POSCO홀딩스 등은 약세를 보이면서 시가총액 상위주들은 전반적으로 혼조세였다.

지난해 연말 상승세에 이어 새해 첫 거래일인 이날도 증시가 상승 마감하면서 1월 효과 기대감도 커진다. 1월 효과란 매년 1월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현상으로 연말 산타랠리, 여름철 서머랠리와 함께 대표적인 계절성 효과 중 하나로 꼽힌다.

실제 통계적으로 보면 1월 평균 증시 상승률은 다른 월보다 높게 나타난다.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코스피 지수의 1월 평균 상승률은 1.21%로 △11월 3.01% △4월 2.89% △12월 1.55% △7월 1.54%에 이어 5번째로 높다. 상승 횟수는 23번 중 14번으로 약 60%의 확률로 수익을 냈다.

매년 11월에서 1월까지 3개월 간 이어지는 강세장으로 인해 연말연초에는 유독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진다. 특히 지난해에는 11월부터 연말까지 강한 산타랠리가 나타나면서 1월에도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1월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우선 연초에는 경기 개선이나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인해 매수세가 유입되기도 하고 기관이나 외국인은 연말 북클로징(장부 마감)으로 자금 집행을 마무리 한 이후 연초에 다시 자금 집행을 시작하면서 수급이 개선되기도 한다.

연말 양도소득세 회피를 위해 매도한 개인이 1월에 재매수하면서 주가가 오른다는 분석도 있다. 1월 효과는 사이즈 효과와 같이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는데 코스피보다는 코스닥이,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가 더 많이 오르는 게 개인 투자자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코스닥 지수의 1월 평균 상승률은 4.19%로 코스피 1월 평균보다 3배 이상 높고 코스닥 월별 수익률 중에서도 가장 높다. 상승 회수 역시 23번 중 13번으로 절반 이상 수익을 냈다. 코스피 안에서도 소형주 지수의 1월 평균 상승률은 2.41%로 대형주 지수(1.43%)나 중형주 지수(0.91%)의 1월 평균 수익률보다 앞선다.

이 같은 기대감에도 증권가에서는 올해 1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증시를 끌어 올릴만한 여러 호재들이 이미 상당부분 선반영됐을 뿐더러 연말 강세장에 따른 차익실현 심리나 4분기 어닝 쇼크(기대치를 밑도는 실적)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기대 요인보다는 불확실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우지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말 산타랠리가 나타났을 경우 미국 증시를 중심으로 1월 효과가 부재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며 "최근 국내 증시는 대외 이벤트 영향을 많이 받는 만큼 향후 미국 발 리스크 여파로 인한 하방압력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과도하게 반영된 만큼 어느정도 되돌림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우 연구원은 "시장은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상당히 강하게 프라이싱(가격 반영)하고 있다"며 "시장의 기대와 엇갈린 연준(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행보가 확인될 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매년 4분기 실적 시즌에는 어닝 쇼크 우려가 높아진다는 점도 경계할 점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등 IT를 중심으로한 수출 모멘텀 지속에도 이익 전망을 둘러싼 단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지수 레벨과 속도 부담 등을 고려할 때 1월에는 숨고르기 장세가 출현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밝혔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1월에는 펀더멘털(경기, 실적)과 통화정책 공백 구간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의 추세적인 순매수 유입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1월에는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강세인만큼 그동안 증시에서 소외됐던 중소형주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해부터 지속됐던 대형주 쏠림현상이 완화하면서 낙폭과대 종목이나 일부 중소형주가 수급상 수혜을 입을 가능성도 있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계절적으로 1월은 주식시장에서 수익률이 부진했던 소외주가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며 "중소형주나 가치주 스타일을 비롯해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에너지, 헬스케어 업종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김사무엘 기자 samue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