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1부(주심 노태악 대법관)는 11일 A씨의 유족이 일본제철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상고심에서 “일본제철은 유족들에게 1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는 2018년 대법원 전원 합의체 판결과 같은 결론이다.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일본제철 강제동원 손배소송 상고심 판결 선고 직후 이 사건을 맡은 변호사들이 입장을 밝히는 모습./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사건은 2005년 이춘식씨 등 강제 동원 피해자들이 일본제철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1차 소송’에 이은 ‘2차 소송’ 중 하나다. 1차 소송은 피해자 측이 1심과 2심에서 패소했지만 이후 2012년 대법원 파기 환송, 서울고법 파기 환송심을 거쳐 2018년 10월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피해자 측에 승소 판결을 확정했다. 2차 소송은 2012년 대법원 판결 이후 다른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들이 낸 소송들이다.
A씨는 1943년 3월 전북 김제에서 일본으로 강제로 끌려가 규슈의 일본제철 야하타 제철소에서 강제 노동을 했으나 월급을 전혀 받지 못했다. A씨는 2012년 사망했고, 유족들은 2015년 소송을 냈다. 1심은 일본제철이 유족들에게 1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일본제철은 항소했지만 2심 판단도 1심과 같았다. 대법원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
대법원은 지난달 21일에도 다른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이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을 상대로 각각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일본 기업들이 1억~1억5000만원씩을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