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北, 한미일 해상훈련 비난하며 “동해서 수중핵무기 시험했다” 주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국방성, 美핵항모 전개·3者훈련 맞대응
“수중핵무기 ‘해일-5-23’ 중요 시험 진행”
韓美일해군기지·美핵항모 겨냥 무기체계
전문가 “아직 전력화안됐고 개발중” 평가


매일경제

북한이 지난해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70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핵어뢰 ‘해일’.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은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이 참가한 가운데 한반도 인근에서 열린 한·미·일 연합해상훈련에 대한 맞대응으로 수중핵무기체계를 시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북한 국방성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에 담화를 발표해 한·미·일이 지난 15~17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실시한 연합훈련을 비판했다.

대변인은 담화에서 “이번 훈련은 지역정세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드는 원인이며 우리 국가(북한)의 안전을 심중히 위협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에 대한 대응조치로서 국방과학원 수중무기체계연구소는 개발 중에 있는 수중핵무기체계 ‘해일-5-23’의 중요시험을 조선(북한)동해 수역에서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해일’은 북한이 지난해 3월과 4월에 걸쳐 시험하고 세 차례 항주 거리·시간 등 제원과 사진을 공개했던 핵무인수중공격정(핵어뢰)다.

핵어뢰는 목표항구 인근 수중에서 핵폭탄을 터뜨려 해일을 일으킴으로써 항구와 함선을 파괴하기 위한 무기체계다.

북한은 한·미·일의 해군기지와 미 핵항모 등을 무력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당 무기체계를 공개적으로 개발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북측은 보도에서 해당 무기체계를 ‘해일-5-23’으로 지칭하며 지난해 시험했던 것보다 성능이 진전된 기종일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북한은 이번에는 실험과 관련해 구체적 수치나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대변인은 담화를 통해 “우리 군대(북한군)의 수중 핵대응 태세는 보다 완비되고 있다”면서 “미국과 동맹국 해군의 군사적 적대 행위들을 억제하기 위한 해상 및 해저에서의 각이한 대응행동은 마땅히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측은 “적들의 무모한 군사적 대결 광기를 절대로 묵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추가적인 맞대응에 나설 것임을 경고했다.

잠수함장 출신인 최일 잠수함연구소장은 북측 ‘해일’의 현재 수준에 대해 “아직 전력화되지 않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하는 단계”라고 평가했다.

최 소장은 북한이 향후 이 무기체계의 장거리 자율항해 및 재충전(스노클) 기능과 위치 오차 개선, 원격통제와 관련한 시험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국방부는 정세 불안의 책임을 한·미·일에 떠넘긴 북측을 비난했다. 또 “북한의 최근 행태는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와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국방부는 만약 북한이 직접적인 도발을 할 경우에는 압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