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국부펀드 약발 통했나 … 中 증시 이틀째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정부가 공언했던 '자금 수혈'과 증시 부양책이 본격화되면서 5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중국 주식시장이 급반등했다. 정부가 주가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공매도를 금지하고 국부펀드를 앞세워 주식을 대량 매입하자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도 안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다만 이 같은 부양책이 '단기 처방'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중국 중앙후이진투자공사는 지난 6일 상장지수펀드(ETF)의 보유 비중을 확대했다며 앞으로도 계속 비중을 늘려 중국 본토와 홍콩 주식시장의 하락을 막겠다고 밝혔다. 투자 규모와 기간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중앙후이진공사는 중국은행·중국공상은행·중국건설은행·중국농업은행 등 4대 국유은행의 최대주주로 2003년 12월 설립된 국부펀드다.

이러한 발표가 나오자 시장은 이틀 연속 반등했다. 6거래일 동안 하락을 거듭하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3.2% 상승한 2789.49에 마감했다. 선전종합지수 역시 5.14% 급등한 1506.79로 장을 마쳤다. 이틀째인 7일에도 두 지수는 각각 1.44%, 1.47%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날인 6일 4.04% 오른 홍콩 항셍지수는 7일에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이날 발표를 두고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본토 A주가 역사적으로 저평가돼 있어 중장기 투자를 목표로 하는 중앙후이진공사를 비롯한 기관투자자가 투자 적기로 보고 있다"며 "중앙후이진공사가 지속적으로 주식 보유량을 늘릴 수 있게 지원하고, 공모·사모펀드, 증권사, 사회보험기금, 연기금 등 많은 기관투자자의 시장 진입을 장려해 주식시장을 안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류쥔 화타이보루이펀드 부사장은 "중국을 대표하는 기관투자자인 중앙후이진공사가 약세장에서도 ETF 보유량을 대량으로 확대하며 시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인 것은 자본시장이 저평가 국면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중국 자본시장 가치가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감회는 증권사들에 공매도 목적의 주식 대여를 금지하고, 공안부와 협력해 악의적 공매도 또한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지난 5일에는 100개가 넘는 증권사 계좌를 활용해 총 27억위안(약 5000억원)어치 주식을 매도해 1억3000만위안(약 240억원) 규모로 부당이익을 챙긴 일당을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베이징증권거래소 역시 증시 부양에 힘을 보태고 있다. 거래소는 지난 6일 상장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하고 상장기업에 전반적인 감독·관리 체제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 사기나 자본 유용, 불법 지분 감소 등을 엄격하고 신속하게 단속하기로 했다.

같은 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증감회에서 주식시장 동향과 증시 부양 등에 관한 내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증감회 주석 겸 당서기도 이날 우칭(吳淸) 전 상하이시 당 부서기로 교체됐다. 현 증감회 주석 겸 당서기인 이후이만(易會滿)은 두 자리에서 모두 물러났다. 인사 배경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분위기를 쇄신해 증시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