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에서 열린 대한뇌졸중학회의 ‘‘초고령화 사회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대학병원 교수들은 증원보다 필수의료로 인력이 모일 수 있는 유인책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배희준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의대 증원과 관련해 “충분한 의사 인력 확보도 필요하지만 핵심은 디테일이다. 핵심은 어떻게 필수의료로 인력이 몰리게 하느냐다“라며 “(의대생들이) 필수의료를 안하려는데, 늘리기만 한다고 되겠냐”고 반문했다.
대한뇌졸중학회 차재관 질향상위원장과 배희준 이사장, 이경복 정책이사(왼쪽부터)가 14일 ‘초고령화 사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받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뇌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져서(뇌출혈) 발생하는 뇌졸중 전문의도 부족한 실정이다. 골든타임 사수가 중요한 질환이지만 현재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수련병원 뇌졸중 전문의는 209명에 불과하다. 전공의 신청도 줄어드는 추세다. 2024년 기준으로 신경과 전공의 정원은 86명이다. 추가로 배정 가능한 25명을 합쳐도 111명 수준이다. 전국 수련병원 74곳을 감안하면 평균 1.5명만 배치되는 것이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현재 뇌졸중 전문의 숫자는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최소 인력 수에도 미치지 못한다. 현재의 인원 수준으로 초고령화사회에 들어서면, 치료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며, “수련 병원 74곳에 전공의가 86명 정도 있는데, 각 연차 당 최소 2명 즉, 현재의 약 2배 수준인 160명으로는 증원되어야 안정적으로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태정 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현재는 매년 15만여명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지만 노인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2050년에는 매년 35만여명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할 것”이라며 “환자 수에 의료진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초고령화사회에서 뇌졸중 치료 체계가 무너지지 않으려면 인적 자원 확보, 보상 체계 마련, 질병군 체계 분류 수정 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김태정 대한뇌졸중학회 홍보이사가 14일 ‘초고령화 사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발표 중이다. 대한뇌졸중학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현재 뇌졸중이 일반진료질병군으로 분류되는 점을 지적하며 전문진료질병군으로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이사는 “뇌졸중이 필수중증응급 질환이라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뇌졸중은 발생 환자의 80%가 후유장애를 얻을 만큼 중증질환이며 골든타임 내 치료가 중요하다”며 “하지만, 현재는 뇌졸중 환자 중에서도, 수술이나 시술을 받는 일부의 환자만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돼 일반진료질병군 환자를 모두 수용할 수 없다. 이대로라면 상급종합병원에서 뇌졸중 환자 진료에 대한 관심과 진료량이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낮은 수가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24시간 뇌졸중 집중 치료실 전담의 근무 수당이 2만7730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김 홍보이사는 “현재 대부분 젊은 의사들은 삶의 질이 중요 하다고 생각하는데 동료의사가 없으니 업무가 과중되는 악순환이 된다“며 “많은 의사들이 ‘내가 내 인생을 이렇게 희생하면서까지 할 수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단순히 보상의 문제가 아니라 보상을 통한 의료인력 유지라는 선순환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