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조국사태와 국정농단 2R?”… 친박과 조국신당 등장에 전전긍긍 [뉴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신당 창당을 선언하면서 더불어민주당 내 시선이 곱지 않다. 민주당이 윤석열 정권 심판론을 내세우는 상황에서 조 전 장관 신당이 유권자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다. 수도권도 중도층 공략을 선거 1전략으로 내세운 국민의힘 또한 국정농단을 소환한 친박계(친박근혜계)의 등장이 달갑지 않다. 총선을 앞두고 조국사태 및 국정농단사태가 소환되면서 이들에 대항 국민의 평가가 또다시 시작됐다. 진보와 보수, 여야의 흑역사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세계일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15일 서울 동작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가칭)조국 신당' 창당준비위원회 출범식에서 잠시 눈을 감고 생각에 잠겨 있다. 조 전 장관은 이날 신당의 인재영입위원장으로 선임됐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신당 만든다”…민주 “연합 안돼”

조국 전 장관은 15일 서울 동작구 한 카페에서 열린 창당준비위원회 출범식에서 제대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는, 눈치 보지 않는 당당한 원내 제3당이 되자고 밝혔다. 그는 선거 앞두고 이합집산해 정체성이 불분명한 당이 만들어지고 있다. 어느 정당이 원내 3당으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겠나며 이번 총선의 시대정신은 검찰 독재정권 심판으로 전국의 모든 지역구에서 윤석열 정부에 대한 심판이냐, 지지냐를 두고 1:1 구도를 반드시 만들어내야 한다. 우리 당도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즉 사실상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전략으로 내세운 윤석열 정부 심판론을 측면 지원하겠다는게 조 전 장관이 신당창당에 나서게된 배경이다. 또 지지층의 여론에 따라 민주당이 주도하는 통합형 비례정당에 참여할지와 지역구 후보를 낼지를 결정하겠다는게 조 전 장관의 계획이다.

문제는 조 전 장관의 기대와 달리 민주당으로서는 조국사태가 다시 언급되는 데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는 것이다. 특히 윤석열 정부 창출의 첫 시발점을 알린 조국사태가 유권자들에게 인식될 경우 표를 분산하는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여당의 표 결집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 전 장관의 신당은 연합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도 같은 맥락읻자.

지난 13일 박 의원은 “설령 (조 전 장관의) 신당이 만들어지더라도 이번 총선 승리를 위한 선거연합의 대상으로 고려하기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밝혀둔다”며 “절체절명의 선거에서 조 전 장관의 정치 참여나 창당은 불필요한 논란과 갈등, 집요한 공격만 양산할 것이다. 과도한 수사로 억울함이 있어도 진보개혁세력 승리를 위해 자중해줄 것을 간절하게 요청한다”고 적었다.

조 전 장관이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의 혐의로 최근 2심에서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은 상황에서 민주당이 조 전 장관과 통합비례정당이나 선거연합의 형태로 손을 잡으면 중도층이 이탈해 총선에 악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판단인 것으로 보인다.

세계일보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가 지난 1월 29일 경북 경산시 경산역 앞에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경산지역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힘, 친박 등장에 “수도권 표 잃을까” 전전긍긍

야당에 조국사태가 있다면 여당인 국민의힘엔 초유의 대통령 탄핵사태까지 번진 국정농단사태가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통했던, 이른바 친박계 인사들이 있다.

이번 총선에서 친박계 인사들은 보수의 성지이자 국민의힘의 양지인 TK(대구경북)지역에 대거 뛰어들었다. 우선 친박계 좌장으로 평가받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는 자신의 옛 지역구인 경북 경산에서 현역인 윤두현 의원과, 박 전 대통령의 변호인으로 이름을 알린 유영하 변호사는 대구 달서갑에서 현역 홍석준 의원과,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경북 군위의성청송영덕에서 김희국 의원과, 조원진 우리 공화당대표는 현역 김용판 의원과의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공천이 사실상 당선인 곳이다.

이렇듯 친박계 인사들 대부분이 현역 국민의힘 의원이 버티고 있는 TK지역에 뛰어들다보니 국민의힘 내부에선 사실상 한몸인 보수안에서 집안싸움을 한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특히 여전히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부정인식이 강한 수도권에선 친박계의 등장으로 인해 표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수도권 유권자들은 지금까지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냉정한 자세를 유지해왔다. 검찰이 최순실 특별수사본부를 확대하고 대학가 시국 선언 및 촛불집회가 시작됐던 지난 2016년 11월 서울 지역의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는 불과 2%로 대구와 경북(10%), 부산과 울산, 경남(9%)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갤럽, 2016년 11월 1~3일, 휴대전화 RDD,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5명, 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 수준), 응답률: 27%)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