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경찰 현장 대응 ‘칸막이’ 허문다···기동순찰대·형사기동대 활동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연이은 흉기난동으로 인해 휴일인 지난해 8월6일 서울 강남역 교차로에서 중무장한 경찰특공대원들이 장갑차 앞에서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긴급 치안상황이 발생한 곳에 다수의 경찰 인력을 집중 투입하기 위한 형사기동대가 20일 출범했다. 상시 순찰을 위한 기동순찰대도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경찰청은 이날 전국 28개대 2668명의 기동순찰대와 43개 권역 1335명의 형사기동대가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기동순찰대는 각 시·도경찰청 범죄예방대응과 소속으로 다중밀집 장소와 공원·둘레길 등 범죄 취약 지역을 집중 순찰한다. 기존 기동순찰대는 전국 6개 순찰대 130여명에 불과했지만, 이날부터 경찰청 본청과 국가수사본부의 내근직 인력 등이 기동순찰대에 추가 배치된다.

형사기동대는 시·도경찰청 강력팀 인력을 차출해 유흥업소 주변 등 우범 지역에 집중 투입해 조직범죄·집단범죄를 예방하고, 범죄 발생시 대응하는 역할을 맡는다. 형사기동대는 1991년 경찰청 개청 때부터 존재했으나 1999년 기동수사대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6년 광역수사대 체제에 흡수돼 사라졌다가 이번 개편으로 부활하게 됐다.

기동순찰대는 지역별로 서울 388명, 경기 582명, 인천·부산 194명, 대구·광주·대전·울산 97명, 경남 194명, 세종 49명, 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제주 97명 등이다. 형사기동대 인력은 서울 210명, 경기 212명, 부산 121명, 인천·대구·광주·대전·울산 61명, 경남 91명, 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 61명을 배치했다.

새 기동순찰대·형사기동대 출범은 지난해 연이어 발생한 신림동, 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을 계기로 단행된 경찰 조직개편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그동안 경찰은 지역서 단위의 관할 구역으로 활동 영역이 제한돼 있었지만, 이번 개편으로 보다 넓은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시·도경찰청 직속 광역단위 전담조직이 생기게 된 것이다.

경찰청은 “그간 지구대·파출소, 수사, 형사, 교통 등 기능별 업무와 관할구역이 구분돼 있어 치안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했다”면서 “이로 인해 강력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는 등 집중적인 경찰력 투입이 필요한 경우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범죄통계와 범죄위험도 예측·분석시스템(Pre-CAS),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Geo-Pros) 등 치안 데이터를 분석해 기동순찰대와 형사기동대 인력 배치를 할 계획이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강당에서 열린 기동순찰대·형사기동대 발대식에서 “지난해 단행된 대규모 조직재편은 현장의 상황 대응력과 문제 해결력을 높이는 지렛대가 될 것”이라면서 “기동순찰대와 형사기동대가 탄력적이고 발 빠르게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응함으로써 치안 공백과 안전 사각지대를 촘촘하게 메워줄 것”이라고 말했다.

윤기은 기자 energye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