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껏 높아진 금리가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가계와 상인들의 빚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빚이 빚을 부르면서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자영업자들도 많습니다. 고금리, 고물가에 씀씀이가 줄다 보니 내수 부진은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안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10년 넘게 의류 도매업을 해온 50대 자영업자 A 씨.
코로나 위기 속 정책 자금 대출 1억 3천만 원과 금융기관 두 곳에서 신용 대출 4천만 원을 더 받았더니 다중채무자가 됐습니다.
[A 씨/'다중채무' 자영업자 : 생각해보세요. 1억 넘는 돈을 3년 안에 어떻게 상환하냐고요. 거기다가 지금 월세며 뭐며… 그런 것들까지 다 이제 플러스가 되다 보니까 감당이 안 되기 시작하는 거죠.]
고금리에 경기 둔화까지 겹쳐 지난해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연체 금액은 27조 원으로 1년 만에 5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사업경험이나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2-30대 젊은 자영업자들의 상황이 가장 나빴습니다.
고금리는 가계에도 타격을 줬습니다.
대출 금리가 내내 높게 유지되며 지난해 가구당 한 달 평균 13만 원을 이자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년 새 32% 가까이 뛴 것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입니다.
[하준경/한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빚을 통해서 버텨라' 이렇게 한 건데 시간이 지나도 이 빚을 갚기가 어려운 상황이 된 거잖아요. 살아나기가 어려우니까 또 빚을 더 많이 져서 또 내수가 더 위축되고 이런 악순환적인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김종미, 디자인 : 김규연·강윤정)
안상우 기자 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한껏 높아진 금리가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가계와 상인들의 빚 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빚이 빚을 부르면서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자영업자들도 많습니다. 고금리, 고물가에 씀씀이가 줄다 보니 내수 부진은 더 심해질 전망입니다.
안상우 기자입니다.
<기자>
10년 넘게 의류 도매업을 해온 50대 자영업자 A 씨.
코로나 위기 속 정책 자금 대출 1억 3천만 원과 금융기관 두 곳에서 신용 대출 4천만 원을 더 받았더니 다중채무자가 됐습니다.
이자만 내는 기간엔 매달 갚는 돈이 백만 원 정도였는데, 지금은 원금까지 갚아야 해 상환액은 400만 원까지 늘었습니다.
[A 씨/'다중채무' 자영업자 : 생각해보세요. 1억 넘는 돈을 3년 안에 어떻게 상환하냐고요. 거기다가 지금 월세며 뭐며… 그런 것들까지 다 이제 플러스가 되다 보니까 감당이 안 되기 시작하는 거죠.]
고금리에 경기 둔화까지 겹쳐 지난해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연체 금액은 27조 원으로 1년 만에 5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사업경험이나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2-30대 젊은 자영업자들의 상황이 가장 나빴습니다.
[전영훈/서울시 복지재단 청년동행센터 상담위원 : 코로나가 끝났는데도 경기가 회복되지 않고 불황이 계속 지속되다 보니까 원금·이자를 같이 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면 분할해서 납부할 수 있도록 조금 유예를 해준다거나….]
고금리는 가계에도 타격을 줬습니다.
대출 금리가 내내 높게 유지되며 지난해 가구당 한 달 평균 13만 원을 이자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1년 새 32% 가까이 뛴 것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입니다.
[하준경/한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빚을 통해서 버텨라' 이렇게 한 건데 시간이 지나도 이 빚을 갚기가 어려운 상황이 된 거잖아요. 살아나기가 어려우니까 또 빚을 더 많이 져서 또 내수가 더 위축되고 이런 악순환적인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커지는 이자 부담만큼 다른 씀씀이를 줄일 수밖에 없는데 , 한국은행은 특히 소비 성향이 높은 3~40대와 중산층이 고금리 시기 가장 크게 위축되면서, 전체 소비가 20% 이상 추가로 감소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김종미, 디자인 : 김규연·강윤정)
안상우 기자 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