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인구 고령화에 '부동산 증여 시점'도 늦어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증여인 3년 연속 감소세
증여 '70세 이상' 가장 많아


더팩트

인구 고령화 영향으로 부동산 자산 이전이 더뎌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동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최지혜 기자]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자녀에게 부동산 자산을 증여하는 시점이 늦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증여 시점이 미뤄지면서 지난 3년간 전체 증여인 수도 줄어드는 추세다. 고령자의 자산 이전을 돕는 정책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이 올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통해 등기된 증여(소유권이전등기)를 기준으로 집합건물의 증여인(자산을 이전한 사람)과 수증인(자산을 이전받은 사람) 수를 분석한 결과 '70세 이상' 연령대가 가장 높은 증여 비중을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다.

70대 이상 고령층은 전체 증여인의 37%를 차지했다. 증여인 10명 중 4명가량이 70세를 넘긴 셈이다. 60대 증여인 비중이 전체의 23%로 뒤를 이었다. 이어 50대가 17%, 40대가 12% 순으로 많았다.

앞서 2020년 23.1% 수준이던 70세 이상 증여인 비중은 2021년 25%, 2022년 29%까지 올랐다. 이후 지난해 36%로 30%대에 진입한 후 올해까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40~60대의 증여는 같은 기간 감소세를 나타내는 중이다.

고령층이 자산 증여를 미루면서 전체 증여도 줄어드는 모습이다. 집합건물 증여인 수는 2020년 8만389명에서 2021년 7만683명, 2022년 5만4083명으로 줄었다. 이어 지난해에도 3만2450명으로 3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시니어 세대가 여생동안 보유 자산을 운용하며 증여 시점도 자연스레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함 랩장은 "저출생 고령화 추세 속 집합건물의 증여인과 수증인의 추세 분석을 통해 부동산 자산의 세대 이전이 점차 늦어지고 있다"며 "국내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은 만큼 고령자의 은퇴 후 보유 자산의 운용 효율화와 증여세 부담 경감 등 수증자로의 자산 이전을 돕는 정책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수증인은 50대가 전체의 26.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40대 22%, 60대 19.3%, 30대 16.1% 등의 순이었다.

wisdom@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