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선거와 투표

'집토끼 독려' 나선 한동훈… 서울강북구 유세서 “수개표하니 걱정 말고 투표해 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28일 시작으로 13일간의 열전에 돌입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 광장에서 윤희숙 중성동갑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지자 결집에 총력을 다하는 모양새다. 한 위원장은 지지층의 적극적인 투표 독려와 함께 지지층 결집 등에 힘을 쏟고 있다. 아울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에 대한 강한 비판의 메시지도 내고 있다.

한 위원장은 28일 서울 강북구청 앞에서 열린 전상범 후보 지지유세에서 “이번(총선)부터 수개표가 추가됐다. 걱정하지 말고 투표해달라. 투표하면 이긴다”라고 말했다.

이날 수개표 관련 발언은 한 위원장이 지지자들의 투표를 독려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부정 선거에 대한 의구심으로 사전투표에 소극적이었던 지지층이 투표장에 나와야 한다는 의미다. 앞서 극우 지지층 등은 투표용지 분류기 등을 포함한 투·개표 과정에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른바 '부정 선거' 논란이다. 다만 지난 총선 이후 국민의힘은 이러한 의혹 제기와 거리를 둬 온 상태다.

한 위원장은 이보다 앞서 진행된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 광장에서 열린 지원 유세에서도 “사전투표, 투표 제도에 대해 걱정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는데 이번 선거부터 우리가 바꿨다. 모두 수개표를 병행한다”고 했다.

한 위원장이 이날 당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도 이른바 '집토끼 지키기' 전략이 드러난다. 한 위원장은 “요즘 선거 어렵다는 소리를 많이 들을 거다. 실제로 어렵다”면서도 “우리는 이겼던 당이고 이길 수 있는 당”이라고 했다.

특히 “2년 전 180석의 거대 여당이 단체장까지 모두 움켜쥐고 있었다. 기울어진 언론 지형에 선거 3일 전엔 말도 안 되는 가짜뉴스까지 나왔다. 그래도 우리는 승리했다”며 대선 승리를 떠올렸다.

전자신문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서울 강북구청 앞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 사진=최기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 위원장의 이러한 발언은 최근 여론조사 등에서 좋지 않은 성적표를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이 MBC 의뢰로 지난 26~27일 이틀 동안 지역구 국회의원 투표 의향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에게 물어본 결과 민주당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43%였다. 국민의힘 후보를 선택한 응답은 35%에 그쳤다.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여당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28%로 1위였지만 더불어민주연합(23%)과 조국혁신당이(20%)의 합에는 미치지 못했다.

지난 대선 당시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이 48.56%를 득표한 것을 고려하면 지역구에서 국민의힘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비례대표 투표에서 국민의미래를 찍겠다는 답변이 다소 부족한 셈이다. 한 위원장이 적극적인 투표 독려와 지지층 결집에 힘을 쏟는 이유다.

한 위원장은 공식 선거운동 첫날 민생 문제 해결 등의 발언 대신 이 대표와 조 대표를 비판하는 데 힘을 쏟기도 했다. 한 위원장은 이들을 사실상 '범죄자'로 규정하며 심판을 호소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강북구 유세에서 “법을 지키며 사는 선량한 사람이 범죄자와 싸우는 데 기죽을 일이 뭐가 있나”라며 “정상적으로 선출한 정부를 끌어내리는 게 목표인 총선이 있나. 오만을 심판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재명·조국 대표는) 당연히 받아야 할 법의 처단을 받을 것”이라며 “(이들이) 피해 가기에 3년은 너무 길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기사에 인용한 여론조사는 통신3사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15.3%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