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조석래 별세] 기술 경영 이끌고 韓 재계 민간 외교관 역할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9일 별세한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은 고(故) 조홍제 창업주에 이어 효성그룹의 2세대 총수직을 35년간 수행했다.

조 명예회장은 1935년 경남 함안군에서 태어났다. 일본 와세다대를 거쳐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원에서 화학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준비하던 중 56세의 나이에 홀로 동양나이론을 창업한 선친(조홍제 창업주)의 부름을 받고 1966년부터 회사 경영에 동참했다.

이후 나일론 원사사업을 세계 4위까지 키웠고 1973년에 동양폴리에스터를 설립하면서 효성을 명실상부한 화학섬유 업계의 리더로 이끌었다.

조선비즈

조석래 효성 명예회장(당시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이사장)이 2013년 한일산업기술 페어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효성 제공




◇ 스판덱스 개발 등 효성의 기술 경영 이끌어

조 명예회장은 1983년에 ‘제2의 창업’을 선언하면서 효성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대대적으로 손질했다. 이 선언 이후 효성 그룹은 화섬, 중전기, 화학, 건설, 정보통신 등의 사업에 집중해왔다.

그의 ‘선택과 집중’ 전략은 1997년 한국 기업이 위기를 겪었던 외환위기(IMF) 때 빛을 발했다. 당시 섬유, 화학, 중공업, 정보통신, 무역 등을 제외한 비주력 사업은 기존 사업과 통합하거나 매각했다.

조선비즈

1976년 11월 효성 창립 10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조석래 명예회장./효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룹 재무구조를 건실하게 만든 뒤 그는 글로벌로 무대를 옮겼다. 중국, 베트남 등에 스판덱스 생산 공장을 세웠다. 베트남 공장은 세계 최대 공급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2008년 터키, 2011년 브라질에 공장을 완공하면서 아시아를 비롯해, 유럽·중동·북아프리카부터 중남미 시장까지 전 세계 시장을 겨냥한 생산 네트워크를 확보하게 됐다.

조 명예회장은 젊은 시절엔 기업인보다 대학 교수를 하고 싶어 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창업주도 그와 비슷하게 학구적인 성향으로 교수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조선비즈

일본 유학 중인 조석래(왼쪽) 명예회장과 부친 조홍제 창업회장./효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명예회장은 학구적이며 논리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유행에 편승하거나 의욕을 앞세우기보다 윤리적이고 원칙적인 경영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명예회장은 “아무도 안 할 때 (그 사업 영역에) 들어가라”, “오직 기술로만 살아남을 수 있다”는 지론을 펼쳤다. 이는 사양산업으로 치부됐던 스판덱스 사업에서도 고수익을 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효성은 타이어 보강재의 일종인 타이어코드로 세계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다. 2003년 중국에 생산 공장을 준공하면서 본격적으로 세계에 진출했고 미셸린과 굿이어 등 글로벌 타이어 기업과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해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조선비즈

조석래(왼쪽) 명예회장이 2009년 7월 대한상공회의소 제주 하계포럼에서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효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창한 어학능력... 민간 외교관으로 활동

조 명예회장은 재계의 민간 외교관으로도 불렸다. 그는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했고 30년 이상 태평양경제협의회, 한일경제협회, 한미재계회의, 한중재계회의 등 다양한 국제경제교류단체장을 맡았다.

특히 2000년에는 한·미 재계회의를 통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공식 제기했다. 체결 이후에도 미국 의회를 방문해 인준을 설득했다.

조 명예회장은 국내 대표 경제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현 한국경제인협회)에서 1987년부터 2007년까지 부회장을 지냈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는 회장을 맡아 국내 재계의 얼굴 역할을 했다.

2017년 발간된 조 명예회장의 팔순 기념 기고문집에는 재계의 지인들이 기억하는 그의 일면이 드러났다. 손길승 SK텔레콤 명예회장은 정부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밝히는 조 명예회장을 ‘재계 지도자’라 했고,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미스터 글로벌’이라고 불렀다.

박성우 기자(foxpsw@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