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훈민정음 연구 헌신…정우영 동국대 명예교수 별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유족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충원 기자 = 지난해 한글날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의 첫 복간본이 동시 출간됐다. 이 작업을 주도한 김슬옹 세종국어문화원장이 쓴 해설서를 감수했을 만큼 훈민정음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아온 정우영(鄭宇永) 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명예교수가 3일 오후 6시께 일산백병원에서 뇌종양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70세.

고인은 지난해 7월부터 투병한 탓에 평생의 염원이던 해례본·언해본 복간 현장에는 함께 하지 못했다.

1954년 대전생인 고인은 금산고,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모교 교수로 강단에 섰다. 원래는 문학의 꿈을 품고 대학에 갔다가 국어학을 하라는 권유를 받고 중세국어 연구에 몰두했다.

2007년 문화재청의 훈민정음 언해본 복원 작업 시 참여한 데 이어 독자적으로 해례본 복원안을 주장,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 해례본 복원 과정에서 권두서명(본문 첫머리)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냐 '어제훈민정음'(御製訓民正音)이냐는 논쟁이 불거졌을 때는 '훈민정음'이라는 쪽을 지지했다.

2007년에는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향가 14수 중 하나인 서동요(薯童謠)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놓아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서동요에 등장하는 '夘'자가 양주동(1903∼1977) 교수가 해석한 것처럼 '몰래'라는 뜻의 '卯'(묘)자가 아니라 '알'을 의미하는 '卵'(란)자의 이체자(異體字)라고 본 것. 이를 바탕으로 서동요가 여성 상위 성행위를 묘사한 가요라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법화경·석보상절 등의 언해본 역주 작업도 주도했다. 김성주 동국대 교수는 "15세기 훈민정음이 나온 뒤에 문헌마다 표기법이 조금씩 달라지는 걸 치밀하게 연구한 분"이라고 말했다. 유족은 부인 홍민숙씨와 사이에 딸 정모은씨가 있다. 빈소 이대서울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 6일 오전 5시30분, 장지 용미리 추모의숲. ☎ 02-6986-4462

chungwon@yna.co.kr

※ 부고 게재 문의는 팩스 02-398-3111, 전화 02-398-3000, 카톡 okjebo, 이메일 jebo@yna.co.kr(확인용 유족 연락처 필수)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