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여야, 막판까지 지지 호소…'막말 공세' 신경전도 계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동훈 "투표율 저조, 동료 시민 나와달라"

이재명 "뒷심 부족…0.7% 패배 반복 안돼"

野 정청래 글 놓고…與 "어르신 짐짝 취급"

10일 오후 4시 기준으로 22대 총선 투표율은 61.8%로 집계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공식 투표율 집계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4428만 11명 가운데 2737만 609명이 투표를 마쳤다. 이는 4년 전 치러진 21대 총선 때 동시간 투표율보다 2.1%포인트 높은 수치다. 지난 총선 때 최종 투표율은 66.2%를 기록했다. 오후 4시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인 지역은 전남으로, 65.5%를 기록했다. 세종(65.2%), 광주(63.7%), 서울·전북(63.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로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57.5%에 머물렀다.

아시아경제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야 지도부는 막판까지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접전 지역에서의 결과가 최종 의석수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한 명이라도 더 투표소로 끌어내야 한다는 판단이다. 국민의힘은 비례대표까지 110~130석, 민주당은 최대 151석 이상을 예상하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국민의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총선보다 투표율이 많이 부족하고, 일부 지역은 권역별 최저 투표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했다. 또 부산 중구, 인천 미추홀구, 대전 동구, 충북 청주시 흥덕구 등 투표율이 저조한 지역들을 나열하며 "이 지역들에 거주하는 동료 시민 여러분, 지금 투표장으로 나와 달라"고 호소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국 투표율 추이가 담긴 그래프를 찍어 올리면서 "투표율 상승 곡선이 꺾이고 있으니, 마지막까지 투표를 독려해달라"며 "뒷심 부족으로 0.7% 패배를 반복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SBS라디오에서 "어느 정당을 찍든 간에 투표장에 나와 자신의 주권을 꼭 행사해줄 것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투표 당일이기 때문에 큰 변수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사전투표율이 높았기 때문에 내심 기대를 하지만, 마지막까지 투표율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민주당이 압승한) 21대 총선 투표율은 65%를 조금 넘었다"고 강조했다.

아시아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청래 최고위원이 22일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 페이스북 페이지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본투표 당일까지 서로를 향한 공세도 멈추지 않고 있다. 정청래 민주당 서울 마포구을 후보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투표소로 노인 실어나르기도 선거법 위반, 최대 징역 7년"이라며 "두 눈 부릅뜨고 감시하자"는 글을 썼다.

이에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보단은 정 후보의 글에 대한 논평을 내고 "어르신을 짐짝 취급했다"며 "투표권 행사라는 소중한 권리를 폄훼하고 제한하려는 민주당은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보단은 "인천 강화군의 한 노인보호센터 대표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의 안전을 위해 차량으로 투표소 이동을 도운 일을 언급한 듯하다"며 "정 후보를 통해 민주당의 뿌리 깊은 노인 비하 의식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고 일갈했다.

정 후보는 자신이 쓴 글과 같은 제목의 기사 목록을 찍어 재차 공유하며 반박했다. 그는 "나는 보수 매체의 기사 제목을 그대로 캡처해 이런 것도 선거법 위반이니 잘 감시하자는 것"이라며 "기사 내용도 선거법을 지키자는 취지, 나도 선거법 잘 지키고 어긴 경우 잘 감시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난독증 환자인가, 성명 취소하고 사과하라"며 "악의적인 흑색 선동, 허위사실 유포에는 법적으로 강력히 대처하겠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