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연금과 보험

"재정 안정" vs "노후 보장"…국회 연금개혁 토론회에 찬반 팽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의 국민연금 개혁 토론회에서 재정 안정이 우선이라는 입장과 노후 소득 보장을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 맞섰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위원회는 13일 전문가와 500명의 시민대표단이 참여하는 첫 숙의토론회를 열었다.

세계일보

서울 국민연금공단 송파지사 상담 창구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재정안정 측 전문가인 김도형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토론회에서 “2055년 연금기금이 소진되면 보험료율이 현행 9%에서 26%로 3배가량 폭증한다”며 “이후에는 최대 3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자녀 세대들이 40%의 소득대체율(연금 가입 기간의 평균소득 대비 받게 될 연금액 비율)을 위해 30% 이상의 보험료율을 부담하는 게 형평성에 맞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교수는 “재정 안정화를 지지하는 전문가들도 소득대체율 인상을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게 아니다”라며 “문제는 소득대체율을 올리려면 보험료율이 13%가 아니라 25%가 돼야 지속 가능하다”고 말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부 교수도 “연금이 노후 기본 보장을 하면서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노인 빈곤 문제는 기초연금 등 다른 수단을 통해서 국가가 책임지는 것이다. 기초연금으로 빈곤 계층에 조금더 더 많은 자원이 할당돼야 하는 것도 맞다”고 강조했다.

반대측은 우리나라의 높은 노인빈곤율을 해결하기 위해 국민연금의 보장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후소득보장 측 전문가인 윤홍식 인하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재정 마련도 굉장히 중요하고 보험료도 높여야 하지만 지금 청년 세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며 “연금 보험료를 꼭 임금에 부과할 필요는 없고 자산소득에도 부과할 수 있고 국가 (재정)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갈현숙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한국 노인빈곤율이 높은 것은 국민연금의 보장성이 낮기 때문”이라며 “국민연금은 적금이 아니고 사회 생산물 일부를 65세이상 어르신이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사회적 제도”라고 말했다.

주호영 연금특위 위원장은 “시민 대표단 의견을 국민 의견으로 생각하고, 가장 중요한 의견이라고 생각한다”며 “연금 개혁안의 임기 내 입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