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대통령실 "G7과 상시 공조"…野 "초청 불발 외교 실패"(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장국 이탈리아, 6월 정상회의에 韓 초청 안 해

"아프리카·지중해 위주 초청…의장국 결정 존중"

뉴스1

지난해 5월 21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 참석해 자리하고 있다. 윤 대통령 왼쪽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대통령실 제공) 2023.5.21/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정지형 김경민 노민호 기자 = 대통령실은 20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초청 불발에 대해 "초청 여부가 G7과의 협력 강화에 별다른 시사점이나 변수가 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뉴스1 통화에서 "G7 정상회의는 주최국의 중점 토의 의제에 따라 매 회의 초청 대상국이 다르게 선정되는 것이 상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탈리아는 올해 G7 정상회의 논의에서 자국 국내 정치와 직결된 아프리카·지중해 이주민 이슈를 중점적으로 토의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자신의 중점 의제와 연계해 초청 대상국을 선정한 것으로 안다"며 "의장국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오는 6월 13~15일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초청국 명단에 한국은 최종적으로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편향적 외교·안보 정책이 원인이라며 국익 중심 실용외교로 기조를 바꾸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글로벌 중추국가' 기치를 내걸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겠다던 윤석열 정부 'G7 플러스 외교'가 무색해졌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대중 관계를 희생시키면서까지 미·일을 비롯한 서방국가와 연대를 강화해 왔지만 이런 결과라니 참담할 지경"이라고 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를 논의할 중요한 자리에서 사실상 배제된 것과 다름없다"며 "G7 초청 불발을 포함해 그간 실패한 외교·안보 정책을 성찰하고 국익 중심 실용외교로 정책 기조를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김준형 조국혁신당 당선인도 논평에서 "대한민국은 한때 G8, G10으로 확대할 경우 당연히 회원국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며 "윤석열 정부가 이념외교, 가치외교로 일관한 탓에 정식 회원국은커녕 초청국이 되기도 어려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과 일본 중심 일방적 외교 노선 탓에 대한민국 외교 운동장이 대폭 줄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야당의 비판이 계속되자 대통령실은 별도 참고자료를 내고 재차 반박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G7과의 협력은 정상회의 참여 형태로만 이뤄지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주요 국제 현안에 관한 연중 상시 공조 형태"라며 "올해도 정상회의 외 여러 G7 장관급회의에 초청받아 분야별 논의에 참여 중"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대통령실은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수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2022~2024년 3년 연속 초청 △지난 3월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 등을 거론하며 외교 성과를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카네기 연구소 등 주요 싱크탱크에서 한국 참여를 통한 G7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점도 언급했다.

대통령실은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은 자유, 평화 등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규범 기반 국제질서를 지켜나가려는 국제사회 노력에 동참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한편 한국은 2020년 이후 G7 정상회의에 총 3차례(2020년·2021년·2023년) 초청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초청돼 정상외교를 수행했다.

kingko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