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한국, 세계 그림자금융의 '약한 고리'…부동산 부문 우려"-블룸버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동산 부문 그림자 은행 10년 새 4배로 급증 925조원,
시티·티로우 프라이스·노무라 경고…"소규모 기관 위험"

머니투데이

약 19개월 전 레고랜드 놀이공원 개발업체가 PF 대출금을 갚지 못해 국내 단기채권 금리가 최대 폭으로 상승하면서 한국 신용 시장에 대한 첫번째 경고등이 울렸다. 강원 춘천시에 소재한 레고랜드. /춘천(강원)=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부문 그림자 금융(비은행 대출기관) 대출이 6710억달러(약 925조원)까지 치솟으면서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한국이 63조달러(8경6814조원)의 그림자 금융 세계에서 주목해야할 '약한 고리'로 떠올랐다는 분석이다.

2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티로우 프라이스와 노무라홀딩스를 포함한 금융회사들이 한국의 부동산 부문 그림자 금융 대출 스트레스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부동산 부문 그림자 금융은 925조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4배로 급증했다. 씨티그룹의 이코노미스트들은 한국이 111조원에 달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채로 '문제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특정 대출 보증을 확대해 위험의 전염을 막았지만 지난해 말 태영건설의 구조조정 발표로 시장의 우려가 다시 높아졌다. 태영건설 최대 채권자인 산업은행은 자본잠식을 해소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출자전환이 필요하다고 지난주 밝혔다. 이 같은 구조조정은 그림자 금융의 부담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통신은 짚었다. 금융안정위원회(FSB)에 따르면 한국은 그림자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선진국들보다 큰 편이고 상대적 규모도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머니투데이

지난 1월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유동성 문제 등으로 워크아웃을 신청한 (주)태영건설 채권자 설명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티로우 프라이스 글로벌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쿠엔틴 피츠시몬스는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다른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의 축소판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개인 신용(private credit·사모 대출)으로 불리는 그림자 금융 대출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이 위험한 대출에서 손을 떼자 수익성이 낮은 소규모 기업들이 대체 자금원으로 눈을 돌리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2021년 한국은행이 주요 중앙은행 중 처음으로 금리를 높이면서 차입금 재조달이 어려워지자 그림자 금융이 급격히 늘었다. 금융 비용 상승 때문에 그림자 금융 시장이 커진 것은 한국만의 얘기는 아니다. 미국의 레버리지 대출 부도율은 2024년 1분기에 6%를 넘어섰고 유럽 정크본드의 스프레드(가산금리)도 최근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크게 확대됐다.

한국의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에 대한 현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정책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노무라홀딩스 박정우 이코노미스트는 부동산 부문에서 "정부가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태영건설의 채무 워크아웃은 끝이 아니라 PF 부채 스트레스의 시작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과 달리 한국은 전반적인 신용 리스크가 광범위한 경제 피해를 촉발하진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한국은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한 '최악의 상황이 아직 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씨티그룹도 이번달 "PF 부채 구조조정으로 하반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기본 시나리오에서 0.2%로 둔화될 것"이란 견해를 재차 강조했다.

당국은 태영건설 사태 이후 660억달러 규모의 시장 안정화 패키지를 발표했고, 지난달에도 수십억달러를 추가 지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아태 부서 책임자인 크리슈나 스리니바산은 블룸버그에 "한국은 위험을 관리하고 있지만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일부 소규모 기관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밝혔다.

1990년대 일본처럼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해 부실대출이 악화될 경우 한국은 경제적 타격을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의 비은행 대출기관은 지난 10년 간 우호적 환율과 장기 임대 오피스의 수익성에 이끌려 해외 상업용 부동산에 대거 투자해왔다. 이런 자산 중 상당수가 코로나 이후 침체기를 맞아 가치가 추락한 상태다. 신용평가회사 피치의 매트 최 아태금융기관 담당은 "실적이 부진한 사업장을 구조조정하려는 정부의 의도를 고려하면 일부 소규모 비은행 금융기관이 더 취약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