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이슈 스마트폰 소식

'갤럭시워치'도 AI로 진화…'혈당 모니터링' 기능 품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 헬스 자문위원들 "혈당 데이터 분석, 웨어러블과 AI이 기회"
갤워치7에 '비침습' 혈당 모니터링 기능 탑재 시사

머니투데이

(왼쪽부터)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 마이클 블룸 박사(비키퍼AI CEO), 데이비드 클로노프 박사(밀스 페닌슐라 메디컬 센터 당뇨병연구소장), 정명진 삼성의료원 AI 연구센터장./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출시되는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에서 AI(인공지능) 기반 혈당 모니터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웨어러블 기기는 이용자가 별도로 측정한 혈당 수치를 입력해 관리하는 데 그쳤다면, 삼성의 스마트워치는 AI 기술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혈당 데이터를 생산한 뒤 다른 건강지표들과 결합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예상된다.

25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따르면, 박헌수 MX(모바일경험)사업부 디지털헬스팀장(상무)은 지난 11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삼성 헬스' 자문 위원들과 만나 디지털 헬스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고 웨어러블의 역할을 논의했다. 이들은 삼성전자의 건강 플랫폼 '삼성 헬스'에 적용될 AI 기술을 거론했는데, 특히 당뇨 관련 위험 신호와 혈당 모니터링 기능에 관심을 가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밀스-페닌슐라 메디컬센터당뇨병 연구소의 데이비드 클로노프 박사는 "건강 지표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에 혈당 데이터를 수면, 혈압, 신체활동 등과 결합하면 종합적인 관점에서 건강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혈당 데이터 분석으로) 당뇨와 같은 잠재적인 질환의 신호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면서 "웨어러블과 AI는 이러한 기회를 증폭시킬 것"이라고 언급했다.

삼성의료원 AI 연구센터장인 정명진 교수도 "웨어러블 제품으로 연속해서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AI를 통해 핵심적인 정보만을 손쉽게 파악한다면, 개인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이해가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자문위원들의 이 같은 언급이 오는 7월 출시가 유력한 스마트워치 신제품 '갤럭시워치7'에 혈당 모니터링 기능이 탑재될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혈당을 측정하려면 피부에 상처를 내는 '침습'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삼성은 스마트워치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비(非)침습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머니투데이

갤럭시 워치6 시리즈. 2023.7.26/사진제공=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의 수많은 당뇨환자는 매일 피부를 찌르면서 혈당 측정을 반복해야 했는데, 비침습 방식은 이 같은 고통을 사라지게 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비침습 방식의 혈당 데이터 측정 기기를 인증한 전례가 없다. "비침습 방식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건강과 직결된 데이터인 만큼 인증에는 엄격한 입장이다.

이에 삼성의 갤럭시워치도 전통적인 침습 방식 혈당 측정의 권위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AI 기술을 활용해 신뢰도 높은 혈당 데이터 모니터링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들은 광혈류측정센서와 AI 알고리즘을 결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비침습 혈당 모니터링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도입은 갤럭시워치7이 첫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자문위원들은 AI 헬스케어 분야에서 삼성의 역할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드러냈다. 마이클 블룸 비키퍼AI CEO(최고경영자)는 "AI 기반의 웨어러블은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제공해 질병을 미리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삼성은 스마트폰과 TV, 가전에 이르는 다양한 제품을 보유한 만큼, 각 제품이 사용자와 연결돼 생활 습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