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아예 안 먹는다는 목소리도
자영업자도 "재료비만큼 가격 올리면
손님 더 안 올까 봐 못 올린다"
2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역 인근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채소값을 살피고 있다. /사진=노유정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휴대폰에 알람 설정하고 세일하는 마트 찾아다녀요."
지난 27일 서울 중구 서울역 인근의 대형마트에서 만난 이모씨(68) 이야기다. 이씨는 현재 살고 있는 서울 동작구 사당동에서 한강까지 건너 장을 보러 왔다고 했다. 그는 "지난주 서울 강남구 한 대형마트에서도 1년 감사제 세일을 한다고 해서 다녀왔다"며 "사람이 몰려서 계산하는데 1시간은 걸렸다"고 전했다. 이날 이씨는 오후에 다른 할인 행사가 예정된 마트를 찾을 예정이라고 했다.
먹거리 물가가 급등하며서 주부들이 '마트 뺑뺑이'를 돌고 있다. 조금이라도 싸게 살 수 있다면 어디든 찾아가는 분위기였다. "과일을 끊었다"는 사람들도 만났다. 소상공인에게도 고물가 부담은 컸다. 급등한 재료비에 소비심리 위축까지 겹치면서 한숨이 길어지고 있었다.
"이 가격이 맞나", 양배추 가격도 급등
이날 오전 서울역 인근 마트에는 'Big 세일'이라는 표시가 곳곳에 붙었다. 이 마트는 제휴 카드로 결제하면 고기를 반값에 주는 행사 중이었다. 주부들이 몰려 장바구니에 고기를 가득 담았다. 주민 이모씨(50)는 "세일이 끝나기 전에 필요한 물건을 쟁여두려고 이틀간 연속으로 왔다"며 "온 식구가 먹을 고기를 두어달치 산 것 같다"고 밝혔다.
할인 표시가 없는 과일 및 채소 코너는 조용했다. 지나가던 시민들도 물끄러미 가격표를 바라만 보지 선뜻 손을 뻗지 못했다.
유통기한이 가까워져 20% 세일하는 채소를 살펴보던 주민 김모씨(70)는 "특히 사과가 비싸서 요새는 아예 안 먹고 있다"며 "이참에 당류를 조절하자는 생각도 들어 생 파프리카나 오이를 대신 간식으로 먹고 있다"고 했다.
채소 코너에서 한참을 멈춰서 가격표를 보고만 있던 이모씨(59)는 "'이 가격이 맞나' 하고 한참 봤다"며 "불과 2주 사이에도 물가가 크게 올랐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양배추 한통에 2300원 정도 하는데 지금 반쪽, 4분의 1쪽으로 나눈 양배추를 같은 가격에 팔고 있다"며 "원래 식비는 안 줄이는 편인데 줄이게 된다"고 덧붙였다.
한식뷔페 가격도 줄인상
고물가는 소상공인에게도 고통을 주고 있었다. 재료비가 오르지만 그나마 있는 수요마저 사라질까 값을 올리지 못하고 있었다. 호프집을 20년째 운영해 왔다는 장모씨(79)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손님이 30% 정도 감소했다"며 "다른 업체들처럼 우리도 치킨 한 마리에 2만원으로 올릴까 생각했는데 가격을 올리면 오는 손님도 안 올까 봐 무서워 가격을 올리지도 못하겠다"고 전했다.
10여년간 순대국을 팔았다는 60대 김모씨도 "물가가 올라도 너무 많이 오르다 보니 그냥 어안이 벙벙하다"며 "예전에는 '오소리감투모둠'과 '모둠순대' 등 2만5000원을 넘는 메뉴를 안주로 주문하는 이들이 많았지만 요즘은 9000원하는 순댓국 한그릇에 반주 정도만 하고 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게의 주고객인 월급쟁이들의 월급은 안 오르는데 혼자 살자고 가격을 올릴 수는 없다"고 했다.
재료비 인상 압박을 더는 버티지 못하고 가격 인상에 나선 소상공인들도 있었다. 특히 저렴한 가격에 많은 양의 음식을 제공하는 뷔페식당이 대표적이었다. 수요가 줄면서 박리다매(薄利多賣)가 더는 통하지 않고 있는 것.
한식 뷔페를 운영하고 있는 한모씨(67)는 지난해 3월 식권 가격을 7000원에서 8000원으로 한차례 올린 바 있지만 오는 6~7월께 9000원으로 추가 인상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씨는 "한 명에게 식권 1장을 팔면 3000원 정도는 남았는데 지금은 1500~2000원 정도만 남는다. 마진이 50%는 깎인 셈"이라며 "다시 올리려고 하니 손님들의 눈치가 보이지만 올리지 않으면 가게 영업이 안 되니 올리려고 한다"고 말했다.
#대형마트 #자영업자 #물가
yesyj@fnnews.com 노유정 김동규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