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비쌀 수밖에 없다”…분양가 밀어 올리는 건설 원자잿값 고공행진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인천의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건설노동자가 작업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설 원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다. 지난해에 이어 시멘트값 등 원자잿값 오름세가 지속하고, 인건비도 줄곧 오르고 있다. 건설비용이 가파르게 증가하자 주택 분양 가격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민간뿐만 아니라 공공주택까지 가리지 않고 분양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실수요자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9일 대한건설협회와 업계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달 기준으로 건설 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 톤(t)당 평균 가격(무포장, 벌크 기준)은 13만1600원으로 일 년 전인 지난해 4월 11만1600원보다 12.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4월 기준으로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14.0% 오른 데 이어 올해 약 13% 더 오른 것이다. 올해 시멘트값은 지난해 10월 13만1600원을 기록한 뒤 6개월 연속 같은 값을 유지하고 있다. 시멘트값은 2022년 3월 10만2300원으로 톤당 10만 원을 돌파한 뒤 줄곧 오름세다.

건설 노동자 인건비도 일 년 새 5% 이상 올랐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적용 건설업 평균임금’ 조사에 따르면 일반공사 직종 하루 평균 임금은 25만8359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24만4456원보다 5.7% 올랐다. 2022년 인건비가 23만 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하루 임금이 약 3만 원 오른 셈이다.

다만 철근값(고장력 철근·SD400)은 이달 기준 톤당 83만5000원 수준으로 일 년 전 97만 원보다 13.9% 하락했다.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철근 수요가 줄어 철근값이 내린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철근값은 2021년 4월 톤당 75만 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비싼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건설 원가 관련 지표는 매월 우상향 중이다. 한국은행이 집계하는 국내공급물가지수 중 ‘건설용 원재료’ 지수는 지난달 기준 128.8로 연중 최고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이 지수는 2018년 5월 125.6을 기록한 뒤 줄곧 내렸지만, 2021년 4월(114.3)부터 다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렇듯 건설 원가 고공행진이 이어지자 새 아파트 분양가는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서울의 3월 평균 분양가는 평(약 3.3㎡)당 3801만 원 수준으로 1년 전 대비 24% 올랐다. 전국 기준으로도 전년 동월 대비 17%, 수도권은 18% 상승했다. 이 수치를 적용하면 서울 국민평형(전용 84㎡)은 12억 원을 초과한다.

분양가격이 대폭 오르자 서울 강북지역에서도 국민평형 분양가 ‘15억 원’ 시대가 열릴 태세다. 서대문구 홍제3구역 재건축 조합은 지난 18일 일반 분양가를 평당 42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한 결과를 공개했다. 전용 84㎡형 일반 분양가는 14억8027만 원에 달한다.

또 3기 신도시인 인천 계양 공공분양 단지 두 곳은 2년 만에 총사업비가 평균 30%가량 늘었다. 국토교통부는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만큼 공사비 인상이 분양가 상승으로 직접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지만, 일선 부동산 업계에선 본청약 때 분양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밖에 각종 규제도 공사비 인상에 영향을 준다. 내년부터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친환경 주택 건설기준) 의무도 적용된다. 국토부는 전용 84㎡형 기준 130만 원이 더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다만 건설업계는 “관련 기술 적용을 연구·개발 비용 등 추가 간접비용을 고려하면 분양가 상승 폭은 정부 추산보다 더 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또 층간소음 규제 강화, 전기차 충전 시설 설치 확대·의무화 등도 분양가 상승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건설 원가 상승 이외에도 커뮤니티 시설 고급화와 편의시설 적용 확대 등 분양가 인상 요인이 많아 분양가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며 “분양가 상승이 이어지면 기존 주택 가격도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고, 특히 신축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률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정용욱 기자 (drag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