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지금은 과학] 값은 내리고 성능은 높인 리튬이온전지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AIST 등 국제공동연구팀, 관련 설계 전략 내놓아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값은 내리고 성능은 높인 리튬이온전지 소재와 전극 설계 전략이 제시됐다.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전지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장 비싼 재료는 니켈, 코발트와 같은 고가 희귀금속이 다량 포함된 양극재다. 국제공동연구팀이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와 가격 경쟁력을 모두 높이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은 신소재공학과 서동화 교수 연구팀이 울산과학기술원(UNIST), 캐나다 맥길대(McGill University)와 공동연구를 통해 리튬이온전지 양극의 핵심 광물인 값비싼 니켈, 코발트 없이도 에너지밀도가 40% 향상된 고성능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양극재를 개발했다고 1일 발표했다.

아이뉴스24

무질서-암염 양극재 전극에서 MWCNT 도전재를 통해 개선된 전자 전도 네트워크와 전극 에너지밀도. [사진=KA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공동연구팀은 망간 기반의 양이온-무질서 암염(Disordered rock-salt, DRX) 양극재에 주목했다. DRX 양극재는 값싸고 매장량이 풍부한 망간, 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 양극재 무게 기준으로 기존 상용화된 삼원계양극재(약 770Wh/kg)보다 높은 에너지밀도(약 1,000Wh/kg)를 가질 수 있다.

값비싼 니켈과 코발트 없이도 소재를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다. 해결해야 할 숙제가 있었다.

망간 기반 DRX 양극재의 경우 양극재 비율이 90% 이상인 전극으로 전지를 만들면 전지 성능이 매우 낮고 급격하게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DRX 양극재 연구자들은 양극재 비율을 70%로 낮춰 전극을 만들어야 했는데, 이 경우 전극 수준에서 삼원계(약 740Wh/kg)보다 오히려 낮은 에너지밀도(약 700Wh/kg)를 가지게 되는 숙제도 나왔다.

공동연구팀은 전극 내 망간 기반 DRX 양극재 비율이 높을수록 전자 전달 네트워크가 잘 형성되지 않고, 충·방전 간 부피 변화율이 높을수록 충·방전 동안 네트워크 붕괴가 잘 일어나 전지의 저항이 크게 높아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고성능 차세대 양극재를 사용하더라도 저항이 크게 걸려 전지가 제 성능을 낼 수 없었던 것이다.

공동연구팀의 관련 연구를 보면 망간 기반 DRX 전극을 제조할 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여러 개의 농축된 원통형 그래핀 층으로 구성된 나노 스케일의 튜브)를 사용해 DRX 양극재의 낮은 전자전도도를 보완하고 충·방전 간 부피 변화를 견딜 수 있게 됐다.

전극 내 양극재의 비율을 96%까지 끌어올리더라도 전자 전달 네트워크와 전지 성능이 열화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니켈, 코발트 없이 전극 무게 기준 약 1050Wh/kg의 에너지밀도를 보이는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양극을 개발했다. 이는 리튬이온전지 양극 중 세계 최고 수준이다. 상용 삼원계 양극 대비 에너지밀도가 40% 향상된 수준이다.

DRX 양극재 내 망간 함량이 높을수록 전자전도도는 높은데 동시에 부피 변화율도 높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망간 함량을 낮춰 부피 변화를 억제하고,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해 낮은 전자전도도를 극복한다는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양극 설계 전략을 연구팀은 제시했다.

서동화 KAIST 교수는 “상용화를 위해 풀어야 할 문제들이 아직 남아 있는데 중국 의존도가 높은 니켈, 코발트 광물이 필요 없는 차세대 양극을 개발하면 자원 무기화에 대비할 수 있고 리튬 인산철 양극 주도의 저가 이차전지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이은렬 UC버클리 박사후연구원(연구 당시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이대형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상욱 박사과정, 김호준 석사과정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논문명 : Nearly all-active-material cathodes free of nickel and cobalt for Li-ion batteries)는 지난 3월 27일자로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온라인에 실렸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