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AI로 노인 일상 대화 분석”…‘치매’ 전단계 조기 진단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한국전기연구원 박영진 박사팀, 노년층 일상생활 발화 빅데이터 구축 착수

헤럴드경제

한국전기연구원이 안산 상록구노인복지관 어르신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 조기 선별검사를 실시하고 있다.[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노년층의 일상생활 대화 분석을 통해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최근 급속한 고령화와 더불어 치매 유병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가 최근 발표한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에서는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르면 이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 2030년 136만명, 2050년 302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기연구원 박영진 박사팀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융합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노년층의 일상생활 발화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AI 기반 퇴행성 뇌기능 저하 평가 기술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노인 친화형 발화(發話) 데이터 수집 기기’를 개발하고, 여기서 정보 빅데이터(발화, 청각인지 뇌파, 청력)를 수집한 뒤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경도인지장애 고위험 노인들을 선별 및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고위험군 선별 및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65세 이상 정상인의 치매 발생이 매년 1~2%인 반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10~15%이기 때문이다. 6년 장기 추적까지 간다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80%가 치매에 걸리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헤럴드경제

노인 친화형 발화 데이터 수집기기. 발화수집 웨어러블 기기(왼쪽)와 신경인지기능검사 앱과 태블릿(오른쪽).[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술의 목표는 편리함과 정확성이다. 가볍게 보청기 같은 기기를 착용하고, 신경인지기능 검사기기 앱을 설치하면 된다. 사업단은 이 앱을 통해 일상생활 환경에서 주로 활용되는 발화 패러다임을 분석하여 평균 20회 정도의 대화 턴(turn) 발화 정보만으로도 80% 이상의 정확성(민감도)으로 퇴행성 뇌기능 저하 고위험군을 선별한다는 계획이다.

연구팀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노인복지관을 포함한 지역사회 어르신 약 100명을 대상으로 실증을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6명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및 7명의 의심 대상자를 선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올해 8월까지 추가로 150명의 복지관 어르신에 대한 실증을 통해 안산시 거주 노인들의 헬스케어 지원 및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고, 이후에도 실증을 희망하는 지자체를 발굴하여 대상 범위를 천 명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박영진 박사는 “치매 조기 발견을 통해 치료시기를 1년만 앞당겨도 1인당 수천만 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천문학적인 국가적·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집에서 편리하게 짧은 시간 검사 참여로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좋은 결과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