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빈틈없는 ‘복지위기가구’ 발굴·지원 체계… 부산시, 구축에 나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행안부 주관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지원 공모사업’ 선정

위치정보 기반… 위기가구 발굴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

부산시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개발 지원사업’ 공모에 총 5개 구, 6개 사업이 선정됐다.

행안부는 주민 접점인 읍면동을 대상으로 복지·안전 서비스 최일선으로서 역할 재정립과 기능 강화를 위해 지난 2∼3월 ‘2024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서비스 개선모델 개발 지원사업’ 공모를 실시했다.

시는 ‘복지+안전’ 분야, ‘민간협업을 통한 복지자원연계 강화’ 분야,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분야, 총 3개 분야에 6개 사업이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아시아경제

복지위기 알림(본인·이웃 위기알림).


시는 이번 공모 선정에 따라, 지역 내 공공기관과 민간 등 다양한 주체 간의 지역문제 발굴과 연계·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위기가구 발굴·지원에 한층 더 관심을 가지고 지역 내 복지안전망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동 365 안전협의체 구성·운영을 통한 지역맞춤형 안전관리 강화 추진(남구) ▲복지 제도권 밖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체계 구축(사상구) ▲안부살핌 우편서비스(서구·동래구·해운대구·사상구)를 추진한다.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은 집배원을 활용, 사회적 고립가구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직접 물품(종량제 봉투·생필품 등) 배달 → 집배원이 파악한 위기 정보를 지자체에 공유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이웃 주민이 위기가구 발견 시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신고할 수 있는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 시범사업’을 부산진구와 북구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이 사업은 국민, 업무유관자 등이 위치정보(GIS) 기반의 모바일 앱을 통해 위기가구를 신고하면, 신고한 위기 알림 정보가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으로 연계돼 대상자 확인과 상담·결과 입력이 이뤄지는 사업이다.

오는 하반기 전국 시행 전, 부산진구와 북구가 시범운영 지역으로 선정돼 복지 위기 대상자 확인·상담을 통한 공공서비스 지원, 민간자원 연계를 시행한다.

시범운영 기간에는 복지위기 알림 앱의 신고 채널에 한해 운영되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복지로 포털, 네이버 포털, CU 편의점 등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국 시행될 예정이다.

시는 이를 통해 현장 위기 신호 포착을 통한 고위험 위기가구 발굴 등 기존의 행정 데이터 입수 중심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한계를 보완할 계획이다.

또 시는 기존 직접적인 위기가구 발굴·지원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인공지능(AI) 초기상담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써 지자체 인력 한계 등으로 인한 복지업무 부담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AI) 초기상담 서비스’는 복지사각지대 발굴대상자에게 먼저 인공지능(AI)이 전화를 걸어 초기 상담으로 위기 정보를 입수하고, 지자체 공무원은 초기상담 정보를 기반으로 필요한 대상자에게 심층 상담·복지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시는 수영구·북구·기장군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초기상담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북구의 경우 ‘복지위기 알림서비스 시범사업’과 ‘인공지능(AI) 초기상담 시범사업’을 함께 실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위기가구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시아경제

국민참여형 복지위기 알림서비스(App) 시범운영 (익명 알림).


배병철 시 사회복지국장은 “이번 공모 선정과 시범사업 추진으로, 복지 위기가구의 선제적 발굴과 체계적 지원을 통해 복지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새로운 복지 수요에 적극 대응해 우리 시 실정에 맞는 탄탄한 지역사회 보호 체계 구축을 위해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