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네이버 '최고' 분기, 카카오 고른 성장…中커머스 공세에도 '굳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악재' 이겨낸 K-플랫폼…1Q '기대 이상' 호실적

머니투데이

네카오 분기별 실적 추이/그래픽=윤선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NAVER)와 카카오가 올 1분기 나란히 호실적을 거뒀다. 네이버는 서치 플랫폼, 커머스 등 주요 사업이 고르게 성장하며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톡비즈, 콘텐츠 매출이 성장하며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준수한 실적을 거뒀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매출 1조9884억원, 영업이익 1203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영업이익은 92% 늘었다.


카카오 '콘텐츠·플랫폼' 고루 성장…"올해 카톡 강화"

부문별로 살펴보면, 콘텐츠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3% 늘어난 1조336억원으로 집계됐다. 그 중 뮤직 매출은 작년 1분기 대비 102% 늘어난 4682억원이었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를 추진 중인 스토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2270억원이었지만, 전 분기와 비교하면 6% 증가했다. 미디어 매출은 같은 기간 41% 증가한 952억원이다.

플랫폼 매출은 95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카카오톡을 통해 광고·커머스 사업을 펼치는 톡비즈 매출은 8% 늘어난 5221억원,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은 1% 늘어난 847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480억원이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대리·주차 등 전 사업 부문이 고루 성장했고, 카카오페이의 해외·오프라인 결제액도 늘었다.

올해는 카카오톡 강화에 집중한다. 사용자 연결성 개선을 목표로 소셜 그래프 계정, 멀티 프로필, 멀티 계정 등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준비한다. 또 다양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타입의 채팅방들을 신규 발굴해 사용자들의 더 편리한 소통을 돕겠다고 밝혔다. 해외 이커머스 공세에 대응한 마케팅 예산을 선제적으로 확보했고, 카카오 커머스의 핵심인 '선물하기'는 상품 라인업이 차별화된다며 지속 성장을 자신했다.

AI(인공지능) 사업도 서두른다.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비롯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 '칼로', 다양한 경량화 언어모델 등을 보유한 카카오브레인의 기술 역량을 결합한 AI 서비스를 내놓을 계획이다. 정신아 대표는 "자체 AI 파운데이션 모델 공개와 서비스 출시가 시장 기대에 비해 다소 늦었다"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 AI서비스를 가시화하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中커머스 이겨낸 네이버…日 '라인 강탈' 대응 고심

지난 3일 1분기 실적발표를 한 네이버는 매출 2조5261억원, 영업이익 439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8%와 32.9% 증가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 영업이익은 최고 실적이다. 알리·테무 등 중국 커머스의 공세가 거셌지만, 자체 서비스 경쟁력 강화로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부문별로 보면 서치플랫폼 매출이 90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 검색 광고와 성과형 광고의 호조, 신규 광고주 발굴의 영향이다. 검색 광고는 전년 대비 6.2% 증가한 6964억원, 디스플레이 광고는 5.3% 늘어난 202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커머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한 7034억원이다. 당초 업계에선 알리·테무 등 중국 커머스 공습 영향으로 네이버 전체 매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커머스 부문이 부진할 것으로 관측했다. 그러나 '도착 보장' '브랜드 솔루션' 등 신규 매출과 더불어 크림(KREAM)의 성장, 소다(SODA) 편입 효과 등이 호실적을 이끌었다. 멤버십 누적 가입자 수와 액티브 이용자 수의 증가 효과도 봤다.

핀테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한 3539억원이다.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외부 생태계 확장으로 24.8% 증가한 16조7000억원이었다. 이 중 오프라인 결제액은 QR, MST(마그네틱보안전송) 결제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174% 증가했다. 콘텐츠 매출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4663억원,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9.1% 성장한 4587억원이었다. 클라우드 매출은 1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5.5% 늘었다. 하이퍼클로바X 등 생성형AI(인공지능) 솔루션 매출 실현이 본격화된 효과다.

다만 네이버를 향한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지주사(A홀딩스) 지분매각 압박은 최근 돌출한 변수다. 네이버는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네이버의 라인 지배력을 줄이라는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는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따를지 말지의 결정이 중요한 게 아니라, 중장기 사업계획으로 검토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정현 기자 goroni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