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서울 아파트 전셋값, 고점 대비 84% 회복…"내년에도 상승세 지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4월 전세 상승 거래 비중 절반 이상

전세 사기 등 여파로 비아파트 임차수요가 아파트로 쏠린 탓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감소…임대차 시장 불안 여전

아시아투데이

서울 송파구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2∼3년 전 최고가의 84%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텔이나 빌라(연립·다세대주택)등 비(非)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 사기 등 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속출하면서 중소형 아파트 전세를 찾는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신혼부부·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리의 정책자금이 풀리고 있다는 점도 전셋값 상승을 견인하는 요소로 꼽힌다.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세 보증금이 전고점의 평균 84%선을 회복했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 전체가 역대 최고가였던 전고점의 80% 이상을 회복했다.

이 중 종로구의 전셋값이 전고점의 90%로, 가장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어 중구(89%), 강서·마포구(87%), 관악·은평구(86%), 양천·광진·서대문·영등포구(85%), 노원·도봉구(81%), 강북구(83%), 강남·송파(82%)·서초구(81%) 등의 순이었다.

마포구 아현동 공덕자이 전용면적 84㎡형의 전셋값은 2022년 9월 10억5000만원을 찍었다가 최저 6억4000만원으로, 고점 대비 60.9%선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82% 선인 최고 8억6000만원에 전세 계약됐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4.99㎡형도 작년 초 2021년 전고점(17억원) 가격 대비 절반 가까이 떨어졌지만 최근 실거래가가 11억∼12억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지며 65∼70% 선까지 올라왔다.

이렇다 보니 전셋값 상승 거래 비중도 커지고 있다. 올해 3∼4월에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2월보다 높은 경우가 절반이 넘는 54%에 달한다.

이 같은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에는 전세 사기 여파로 빌라 기피 현상이 심화된 영향이 크다.

최저 연 1%대의 낮은 금리로 주택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는 신생아 특례 대출을 비롯해 신혼부부·청년 대출 등 정부 정책자금 지원이 확대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수요 대비 부족한 입주물량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3786가구로 지난해(3만2759가구)보다 27.4% 감소한다.

이 때문에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월세 물건은 한 달 전 4만8573건에서 11일 기준 4만8573건으로 1.5% 감소했다. 작년 말(5만4946건)에 비하면 12.9%가 줄어든 수치다.

수요는 늘고 공급은 줄면서 지난주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00.1을 기록하며 기준선(100)을 넘어섰다.

이 같은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2만3803가구로 올해와 비슷한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여서다.

빌라나 다가구주택,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신규 공급 감소에 따른 아파트 쏠림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