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3 (목)

젊은 맞벌이 부부 36%가 '무자녀'…9년새 15%p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 특성 변화' 보고서
홑벌이 부부 무자녀 비율은 비슷
"여전히 일·가정 양립 어려워 경제활동 포기"
한국일보

지난해 6월 11일 맞벌이 부부를 위해 주말 어린이집으로 처음 문을 연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어린이집에서 한 어린이와 교사가 놀이활동을 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젊은 맞벌이 부부 열 쌍 중 네 쌍은 자녀가 없는 '딩크(Double Income No Kids·맞벌이 무자녀 가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KLI)의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2013년(22.2%)부터 꾸준히 증가 추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무자녀 비중은 더욱 높았다. 청년층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율은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5.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홑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022년 13.5%로, 맞벌이 부부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2013년 12.3%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었다. 또 무자녀 부부에서 아내의 2022년 취업 비중은 유자녀 부부의 아내(40.6%)보다 30.4%포인트 높은 71.0%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여전히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 아내에게 많은 것으로 짐작된다"고 분석했다.
한국일보

이달 10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 중 청년층 기혼 가구의 맞벌이 여부별 무자녀 부부 비중 변화 그래픽. 한국노동연구원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가 보유 비중도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 사이에 차이가 났다. 무자녀 부부의 자가 보유 비중은 2022년 기준 34.6%, 유자녀 부부는 52.0%였다. 반면 주 저축 이유로 '주택 마련'을 꼽은 비중은 무자녀 부부가 유자녀 부부보다 1.7배 높았다. 무자녀 부부 중 맞벌이가 많아 월평균 가구 실질소득이 유자녀 부부보다 많고, 저축액도 많은데 주택 마련을 주요 저축 이유로 꼽은 것이다. 보고서는 "주거 불안정성이 무자녀 부부의 출산 저해 요인 중 하나임을 추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서울의 무자녀 부부 비중이 45.2%로 전체 평균(27.1%)과 큰 차이가 나는 건 서울 지역의 높은 주택가격 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추정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권익성 한국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 확대 △노동시장 특징별 무자녀 부부 아내의 출산 유인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장수현 기자 jangsu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