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브라질 ‘최악 폭우’·케냐 ‘3개월 홍수’…“부자들 떠나고 빈민들만 남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후재난이 키운 사회 불평등…“정책 변화” 목소리

세계 전역을 휩쓴 홍수가 지나간 자리에 남은 것은 쓰레기와 흙탕물뿐만이 아니었다. 물에 잠긴 동네를 벗어나지 못한 가난한 이들도 거리에 남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AP통신은 “이미 물난리가 벌어진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주에 더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며 “이곳에 남은 이들은 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지 못한 가난한 사람들”이라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브라질 최남단 히우그란지두술주에서는 지난달 29일부터 사상 최악의 폭우가 내려 최소 136명이 사망했다. 목재로 지어졌거나 지반이 약한 주택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이곳에 사는 이들 대부분이 도시 빈민이었다.

침수 이후의 상황도 경제적 여건에 따라 달라졌다. 가족 별장에서 지내고 있는 한 시민은 “초반에는 동네에 남아 자원봉사를 했지만, 결국 혼란을 피해 이동해야 했다”라고 말했다. 피해가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인 소도시 카노아스의 주민 파울루 세자르 월프는 집이 침수된 다른 이웃 6명과 함께 트럭에서 생활하고 있다며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토로했다.

지난 3월부터 계속된 홍수로 267명이 숨진 케냐에서도 피해는 빈민가에 집중됐다. 수도 나이로비에 흐르는 마타레강 근처 빈민촌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전문가들은 열악한 배수 시스템과 불법 증축, 범람에 취약한 지반 등이 피해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케냐 정부가 빈민가의 무너진 집들을 철거하고 다시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인권단체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기후재난이 사회적 불평등을 키운다는 점을 고려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브라질 기후정책 전문가 나탈리 언터스텔은 “기후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불평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혜린 기자 cher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