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방문객이 기념 ‘팻말’ 설치 추정…1년째 방치
안내문에도 ‘군사반란’ 등 과오 축소, 공로 미화
합천군, 취재 나서자 “철거 예정”
경남 합천군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생가 마당에 그를 ‘위기를 극복한 영웅적 대통령’이라고 기리는 팻말이 설치돼 있다. 지난 14일 촬영했다. 강현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신 영웅적인 전두환 대통령 존경합시다.”
지난 14일 찾은 경남 합천군 율곡면 내천마을에 있는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생가 마당에 설치된 팻말 2개에 쓰인 문구다.
합천군에 팻말 설치 경위와 문구 작성자 등을 확인했다. 전씨 생가는 1983년 합천군이 조성했다. 631㎡ 부지에 안채와 헛간, 곳간, 대문을 갖춘 초가를 복원했다. 군은 매년 1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생가를 관리한다. 합천군은 경향신문 취재 이후 “팻말은 신원미상 방문객이 설치한 것으로 파악되며 관리부서에서 철거할 예정”이라고 했다.
팻말 옆으로 높이 1m 남짓의 측백나무가 자랐다. 팻말은 나무 심은 것을 기념해 세운 것으로 보인다. ‘2023. 3. 15’. 팻말에 적힌 식수 일자다. 군 공공시설물인 전씨 생가에 누군가가 나무를 심고 그를 미화하는 내용의 팻말을 설치했는데도 합천군은 1년 넘도록 아무런 조처도 하지 않았다. ‘전두환 우상화’의 씨앗이 묵인과 방치 속에 자란 것이다.
생가 앞 한글과 영어로 쓰인 안내판도 과장, 미화의 내용으로 채웠다. 1968년 수도경비사령부 대대장이었던 전씨가 “1·21사태 때 사전 치밀한 대비로 북한특공대를 격퇴하는 공로를 세웠다”거나 “육사 동기 중 가장 먼저 장군으로 진급했다” “사단장 시절 북한 제3땅굴을 발견했다”는 식이다.
14일 찾은 경남 합천군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생가 마당은 잔디 정리 등이 잘 돼 있었다. 합천군은 매년 1000만원을 들여 생가를 관리한다. 강현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법원 판결과 역사적 평가로 명확하게 규정된 12·12군사반란도 제대로 설명하지 않는다. 안내판엔 “박 대통령 시해 사건이 발생하자 합동수사본부장을 맡게 됐는데, 그 수사 과정에서 12·12사태가 빚어졌다”고 적었다. ‘군사반란’은 없애고, ‘수사 과정’을 부각하며 설명한 것이다.
전씨는 이후 1995년 검찰 수사를 받고 구속기소됐다. 그에게 적용된 혐의는 반란수괴, 내란수괴, 내란목적살인, 뇌물 등 9개에 달했다. 1심에서 사형이 선고됐지만 항소심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됐고 1997년 12월22일에 사면·복권됐다.
2021년 11월 사망한 전씨는 1931년 1월 황강이 흐르는 이곳 마을에서 7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고 한다. 황강은 경남 거창에서 발원해 합천을 거쳐 낙동강과 합류한다. 전씨 어린 시절 가족이 모두 대구로 이사해 실제 거주 기간은 3년 정도라고 한다.
☞ [단독]그들 평범한 가족, 5·18 그 해 계엄군을 법정에 세웠다
https://www.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2405160600031
강현석 기자 kaja@kyunghyang.com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