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文 "김정은, '딸까지 핵 머리에 이고 살게 하고 싶지 않다' 말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7일 발간한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 실린 내용

"폼페이오가 北 와서 실무교섭하며 '핵 리스트' 요구해 정상회담 늦어져"

도보다리에선 "김정은, 어떻게 美 설득하고 진정성 받아들이게 할지 물어"

"트럼프, 조건 맞으면 대화하고 거래할 수 있다는 실용적 생각 가져"

노컷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018년 4월 27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박종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핵을 사용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나에게도 딸이 있는데 딸 세대까지 핵을 머리에 이고 살게 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재임 중 외교안보 분야 내용을 담아 17일 펴낸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 당시 김 위원장이 자신의 비핵화 의지를 국제사회가 불신하는 데 대해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회고록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북미 사이 '중재자' 역할을 자임했던 문 전 대통령의 고충이 비중 있게 담겼다. 특히 북미 비핵화 협상이 진행되는 와중 양측이 상호를 비방하는 언사를 주고받다가 2차 북미정상회담이 2019년 2월에야 열린 배경도 공개됐다.

문 전 대통령은 "북한은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 국무장관이 북한에 와서 실무교섭을 하며 '핵 리스트'를 내놓아야 한다고 해 정상회담이 늦어졌다고 했다"며 "그 때문에 북한이 발끈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내게 한 표현으로는 '신뢰하는 사이도 아닌데 폭격 타깃(목표)부터 내놓으라는 게 말이 되냐'는 것이었다"며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 대통령에게 그 말을 그대로 전했더니 '나라도 그렇게 생각했겠어'라고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후로는 트럼프 대통령 입으로 그런 요구를 한 적은 없지만 폼페이오나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그런 말을 하는 것은 막지 못했다"며 당시 미국 정부의 요구로 북미 간 대화가 어려워졌다고 했다.

이 회고록에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과 단독으로 진행했던 '도보다리 대화'의 내용도 실렸다. 문 전 대통령은 "나는 북미회담을 잘 하라고 얘기했고, 김 위원장은 어떻게 하면 미국을 설득하고 자기들의 진정성을 받아들이게 할 수 있을지를 물었다"고 말했다.

또 회담 상대로서의 김 위원장에 대해 "보도를 보면 북한에서는 굉장히 폭압적인 독재자로 여겨졌는데, 내가 만난 그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서 예의 바르고 존중이 몸에 뱄다"며 "말이 통한다고 느껴지는 사람"이라고 밝혔다.

다만 김 위원장이 지난해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남북관계를 '적대적, 교전 중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한 것을 두고는 "매우 유감스럽다"며 "결코 평화를 지향하는 국가지도자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전혀 이념적이지 않았고, 서로 조건이 맞으면 대화할 수 있고, 거래할 수 있다는 실용적 생각을 갖고 있었다"며 "그런 면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하는 나로서는 아주 좋았다"고 평가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