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떡상해부] 한달새 주가 2.5배로 뛴 화장품 유통회사,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디브랜드' 주도 판도 변화에 화장품株 날개짓…글로벌 인기 실적으로 증명

'화장품 ETF'도 한달 수익률 21~23%…"韓 인디화장품 인기 꾸준히 상승"

연합뉴스

봄맞이 화장품 준비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화장품 수출액이 22% 가량 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관세청이 3일 발표한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23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7% 증가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규모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백화점 화장품 매장. 2024.4.3 jin90@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여기, 한 화장품 유통업체가 있다. 2022년 1분기 353억원의 매출, 2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이 업체는, 2년 후인 올해 1분기에는 매출 1천499억원, 영업이익 294억원을 기록했다.

2년 사이 매출은 약 5배로, 영업이익은 약 13배로 늘었다.

놀라운 성장의 주인공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실리콘투[257720]다.

실리콘투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400개에 육박하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를 100개 이상의 국가에 도·소매로 판매하고 있다.

한국 화장품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해외 유통망을 갖춘 이 회사가 '깜짝 실적'을 낸 것이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분기 실적이 증권가 전망치를 120% 상회하면서 실리콘투 주가는 지난 9일과 10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2년 전 주가가 채 3천원이 되지 않았던 실리콘투의 지난 16일 종가는 2만8천900원. 근 10배로 뛴 셈이다. 최근 한 달간만 따져봐도 주가 상승률이 126%에 달한다.

과거 중국 시장 중심으로 실적을 내던 국내 화장품 업종은 이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으로 저변을 넓혔다. 일부 대형 브랜드가 주도하던 시장에는 다양한 중소형 브랜드들이 가세했다.

유통업체인 실리콘투의 전례 없는 성장 배경에는 이같은 국내 화장품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있다.

올해 1분기 화장품 업종에서는 대형주, 중소형주 할 것 없이 가파른 성장세를 '숫자'로 증명해냈다. 중국 시장 실적이 유지되는 가운데 미국과 동남아, 유럽 시장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그동안 좀처럼 개선되지 않던 화장품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가 모처럼 살아나는 모습이다.

화장품 업종 시총 1, 2위이자 과거 화장품주 영광의 주역이었던 아모레퍼시픽[090430]과 LG생활건강[051900]은 올해 1분기 오랜만에 호실적을 냈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1분기 중국 시장 회복과 미국 도매 매출 증가 등에 힘입어 연결기준 72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해외법인의 영업이익이 316억원으로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LG생활건강은 1분기 1조7천287억원의 매출과 1천131억원의 순이익을 냈는데, 이중 매출은 10분기 만에 증가했다.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6일까지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주가는 각각 24.14%, 17.87% 올랐다.

중소 화장품 기업의 실적과 주가 개선세는 더욱 가파르다.

해외 진출 효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2.5% 증가한 클리오[237880]는 한 달 새 주가가 20.00% 올랐다.

일본과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끈 '리들샷' 제조사인 브이티[018290]는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면서 주가도 30.89% 급등했다.

연합뉴스

해외에서 잘 나가는 한국 화장품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화장품 수출액이 22% 가량 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관세청이 3일 발표한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23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7% 증가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규모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화장품 매장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2024.4.3 jin90@yna.co.kr



미국 아마존 입점에 이어 코스트코 오프라인 입점을 앞둔 마녀공장[439090]도 호실적과 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한 달간 주가가 26.55% 올랐다.

특히 SNS 마케팅 효과를 등에 업은 '인디 브랜드'의 성장에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제조업자 개발 생산(ODM) 업체의 실적도 크게 개선됐다.

그동안 품질과 노하우를 쌓아온 ODM 업체들은 업력이 짧은 인디 브랜드들의 제품 출시를 비교적 쉽게 만들었다. '한국 제조' 상품에 대한 높은 수요에 해외 브랜드 수주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화장품제조[003350]는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98% 증가하면서 주가가 한 달 새 43.92%나 올랐다.

코스맥스[192820]는 올해 1분기 작년 동기보다 229% 증가한 45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고, 코스메카코리아[241710]는 1천256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이들 종목의 1개월 수익률은 각각 22.46%, 13.83%다.

한국콜마[161890]도 1년 새 영업이익이 1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최근 한 달간 주가가 9.74% 상승했다.

이들 화장품 종목을 담은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 화장품'[228790]의 한 달 수익률은 23.21%, 'HANARO K-뷰티'[479850]는 21.41%를 기록했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향 수출이 중심이 돼 매출 성장을 이끌었던 한국 화장품 산업이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미국 등 비중국 지역에서 양호한 성과를 보이기 시작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인디 화장품의 인기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런 트렌드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을 지속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hom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