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윤 대통령 “정치적 자유 충분…경제적 자유 없는 국민 많아”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제44주년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서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의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고,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오월의 정신이 깊이 뿌리내리면서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워냈지만, 지금 우리는 또 다른 시대적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경제적 불평등이 불러온 계층 갈등, 날로 심화되는 사회적 양극화가 자유 민주주의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며 “정치적 자유는 확장됐지만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켜서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복원하고 국민이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수준을 더 높이 끌어올려야 한다”며 “성장의 과실을 공정하게 나누고 사회적 약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하여 국민 모두가 행복한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선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워야 한다”며 이념을 강조했으나, 총선 패배 이후 이념 대신 민생 경제를 강조하고 나선 모습이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5·18 유가족 대표들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립 5·18 민주묘지 입구에서 5·18 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5·18 유가족 대표들을 태운 버스를 맞이하고 ‘민주의 문’으로 같이 입장해 헌화와 분향을 했다. 기념식을 마친 뒤에는 민주묘지 1묘역에 안정된 고 박금희, 김용근,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가족을 위로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 재직 중 3년 연속으로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번째”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대선 출마 선언 직후인 2021년 7월 5·19 민주묘지를 방문했을 때부터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에 긍정적인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날 윤 대통령은 이 같은 계획을 언급하지 않았다.



한겨레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기념식에서 광주시의회 5·18 특별위원회 소속 시의원들이 ‘5·18 정신 헌법 수록’을 촉구하는 펼침막을 들고 묵언 시위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기념식엔 지난해보다 500여명 줄어든 2500명이 초청됐다. 5·18 민주 유공자와 유족, 학생, 시민 등과 더불어 정부 주요 인사,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조국신당·개혁신당·녹색정의당·진보당 등 여야 의원 및 당선인들도 대거 참석했다.



윤희석 국민의힘 선임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5·18 정신은 더 이상 특정 정치 세력의 상징이 아닌 온전한 대한민국 민주화의 상징이 되어야 한다”며 “숭고한 5·18 정신을 이어 미래로 향한 통합의 길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윤 선임대변인은 “여야 간 초당적 협의를 기반으로 5·18 정신이 헌법 전문에 수록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고도 약속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이날 페이스북에 “더 이상의 5·18 폄훼와 왜곡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기념사 전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올해도 5월 광주의 거리에는 이팝나무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습니다. 44년 전 5월, 광주시민과 학생들이 금남로에서, 도청에서 나누어 먹은 주먹밥을 닮은 새하얀 이팝나무 꽃입니다. 사방 도로가 모두 막히고 먹을 것도 떨어졌던 그때, 시민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쌀과 솥을 들고나와 골목에서 주먹밥을 만들었던 것입니다.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을 지키기 위해 광주가 하나 되어 항거했습니다. 1980년 5월, 광주의 그 뜨거운 연대가 오늘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이룬 토대가 됐습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광주가 흘린 피와 눈물 위에 서 있습니다.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하며 마음을 다해 안식을 빕니다. 또한, 그날의 아픔을 가슴에 묻고 묵묵히 오월의 정신을 이어오신,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국민 여러분, 오월의 정신이 깊이 뿌리내리면서,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워냈습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누리는 정치적 자유와 인권은, 이제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또 다른 시대적 도전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불평등이 불러온 계층 갈등, 그리고 기회의 사다리가 끊어지면서 날로 심화되는 사회 양극화가,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습니다.



정치적 자유는 확장되었지만,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이 있습니다. 정치적 인권은 보장되고 있지만, 일상의 여유조차 누리기 어려운 국민들이 적지 않습니다.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켜서,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복원하고 국민이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수준을 더 높이 끌어올려야 합니다. 성장의 과실을 공정하게 나누고 사회적 약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하여, 국민 모두가 행복한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어가야 합니다. 미래세대가 내일을 꿈꿀 수 있도록 도전과 기회의 토양을 더욱 단단히 다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고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야 합니다. 저는 이것이 오월의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며,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민주 영령들께서 남겨주신, 자유민주주의의 위대한 유산을 더욱 굳건하게 지킬 것입니다. 국민의 삶을 더 세심하게 챙기면서, 더 큰 대한민국을 향해 국민과 함께 힘차게 나아갈 것입니다. 오월의 정신이 찬란하게 빛나는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 저와 정부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 1980년 5월, 광주 오월의 정신은 지금도 우리 속에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우리 모두의 힘을 모아, 오월 민주 영령들의 큰 뜻을 실천하고, 자유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 갑시다.



감사합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