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홍콩, 中 본토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위안화'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 디지털 위안화 지갑 개설 가능해져

중국 외 도시 중 최초

홍콩이 중국 본토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위안화(e-CNY)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18일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홍콩 중앙은행 격인 홍콩금융관리국(HKMA)은 전날 성명을 통해 홍콩 주민이 중국은행, 교통은행, 건설은행, 중국공상은행에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개설해 중국 본토에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휴대전화 속 디지털 위안화


디지털 위안화 지갑 개설은 별도의 은행 계좌 없이 가능하다. 휴대 전화번호만으로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충전할 수 있다. 홍콩 내 17개 시중은행을 통해 'FPS'로 불리는 즉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한다. 중국 광둥(廣東)성과 홍콩-마카오를 잇는 이른바 '그레이트 베이' 지역과 중국 내 기타 시범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홍콩은 중국 본토 이외 지역 중 디지털 위안화 지갑을 개설할 수 있는 첫 번째 도시가 됐다. 이번 조치는 중국 당국이 홍콩을 글로벌 금융 허브로 육성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홍콩은 아시아의 가상자산 허브 주도권을 놓고 싱가포르·두바이 등과 경쟁 중인 가운데 지난달 말부터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거래를 시작했다.

중국은 2014년부터 디지털 화폐 연구에 돌입해 2019년 하반기부터 일부 시범 도시를 중심으로 디지털 위안화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유통되는 디지털 위안화 규모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총 165억 위안(약 3조1000억원)이다. 본원통화(M0)의 0.16% 수준이다.

홍콩금융관리국은 "앞으로 중국인민은행과 계속 긴밀하게 협력해 디지털 위안화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중국과 홍콩 간 거래의 편의성을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